레이블이 일반트레킹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일반트레킹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날고 있는 학을 닮은 섬, 통영 학림도

통영 학림도 정보

학림도

학림도(鶴林島)는 통영시의 산양읍 저림리에 있는 섬이다. 미륵도의 남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저도, 남쪽으로 연대도와 인접해 있다.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길게 활처럼 휜 모양을 하고 있어 천연의 방파제 역할을 한다. 해안선은 북쪽은 사빈해안, 남쪽은 암석해안이다. 『대동지지』에 따르면 “조도(鳥島)는 춘원면의 남쪽 바다 가운데 있다.”라고 수록하였다. 『호구총수』에도 춘원면 조도리로 적고 있다. 『조선지도』(고성), 『1872년 지방지도』(당포진)에는 조도로, 『광여도』(고성)와『영남지도』(고성)에는 남쪽에 인접한 연대도와 합쳐 조도연대(鳥島烟臺)로 표시하고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학림동(鶴林洞), 새섬으로 기록하였다. 조도, 새섬이라는 지명은 섬의 모양이 하늘을 나는 새와 비슷하다고 해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백로와 왜가리가 서식하여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횡성호수길 5구간 가족길과 양구 한반도섬 트레킹

횡성호수길 5구간 가족길과 양구 한반도섬 정보

횡성호수길-5구간-양구-한반도섬
횡성호수길은 2,000년에 횡성댐이 완공되면서 생성된 인공호수인 횡성호수를 중심으로 6개 구간, 총 31.5km의 길이 조성되었는데요. 횡성호수길 5구간 가족길은 망향의 동산에서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돌아오는 코스인 A코스와 오두막 쉼터 근처에서 시작해 횡성호 쉼터를 거쳐 회귀하는 B코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횡성호수길 중 5구간 가족길은 가장 가까이에서 한폭의 그림같은 횡성호수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코스로 관강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코스입니다.  

양구 한반도섬은 파로호 상류에 위치한 한반도 모양을 갖춘 인공섬으로 국토 정중앙의 양구의 지리적 상징성을 부각하기 위해 한반도 모양을 본 떠 만든 섬입니다. 섬 주변에는 163만㎡의 국내 최대습지가 조성되어 있어 나무 데크길을 다라 담수어 및 수생식물을 관찰하며 한반도섬으로 진입할 수 있고, 한반도섬에는 지리산, 한라산 같은 명산의 조형물 뿐만 아니라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 우리나를 대표하는 섬 등을 조성해 볼거리가 풍성합니다.

국토 정중앙에 위치한 양구의 한반도섬

양구 한반도섬 정보

한반도섬
양구 한반도섬은 파로호 상류에 위치한 한반도 모양을 갖춘 인공섬으로 국토 정중앙의 양구의 지리적 상징성을 부각하기 위해 한반도 모양을 본 떠 만든 섬입니다. 섬 주변에는 163만㎡의 국내 최대습지가 조성되어 있어 나무 데크길을 다라 담수어 및 수생식물을 관찰하며 한반도섬으로 진입할 수 있고, 한반도섬에는 지리산, 한라산 같은 명산의 조형물 뿐만 아니라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 우리나를 대표하는 섬 등을 조성해 볼거리가 풍성합니다.

횡성호수길 5구간 가족길

횡성호수길 5구간 가족길 정보

횡성호수길-5구간
횡성호수길은 2,000년에 횡성댐이 완공되면서 생성된 인공호수인 횡성호수를 중심으로 6개 구간, 총 31.5km의 길이 조성되었는데요. 횡성호수길 5구간 가족길은 망향의 동산에서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돌아오는 코스인 A코스와 오두막 쉼터 근처에서 시작해 횡성호 쉼터를 거쳐 회귀하는 B코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횡성호수길 중 5구간 가족길은 가장 가까이에서 한폭의 그림같은 횡성호수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코스로 관강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코스입니다.  

평창 동대산과 오대산 선재길

오대산 선재길 정보

오대산-선재길

오대산 선재길은 월정사(일주문)에서 상원사까지 약 10km의 숲길로 스님과 불교신도들이 다니던 길인데요. 문수보살은 지혜와 깨달음을 상징하는 불교의 대표적인 보살로 이러한 문수의 지혜를 시작으로 깨달음이라는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분이 화엄경의 '선재(동자)'입니다. 또 선재에는 '착한사람'이라는 뜻도 내포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재길을 걷는 것은, 이 길을 통해서 세상사의 고뇌와 시름을 풀어 버리고 새로운 행복으로 나아가는 것과 더불어 서로에게 착한 사람으로 기억되는 방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선재길을 걸으며 우리는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결과가 아닌 과정에서 목적을 찾는 깨어있는 사람으로 거듭나 문수보살의 지혜와 조우하게 될 것입니다.

봉화 예던길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관람

봉화 예던길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정보

봉화-예던길-국립백두대간수목원

봉화 예던길은 낙동강시발점과 봉화 청량산 입구를 잇는 국도 35번 주위의 강변길로 퇴계 이황이 젊은 날 입신을 위해 즐겨 걷던 옛길이다. 은퇴 후 노년에도 학문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이 길을 걸었으며 그가 세상을 뜬 후에도 많은 후학들이 먼 길을 마다 않고 찾아와 옛 스승이 다니던 길을 즐겨 밟았다. 예던길은 퇴계 선생이 봉화 청량산을 오가던 길을 복원한 길로 퇴계선생의 종택이 있던 곳에서 봉화 청량산까지의 50리길이며 퇴계선생이 배움을 찾아 13세부터 숙부 이우를 찾아 청량산 오산당(지금의 청량사)까지 걸어 다녔던 길이라고 한다. 예던길의 예던이란 말은 요즘엔 안쓰는 말이지만 예다는 “다니다”라는 뜻으로 “다니던 길”이란 정도의 뜻이라고 한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전체규모 약 5,179ha(15백만평)로 아시아에서는 최대, 전 세계에서도 남아공 국립한탄식물원(6,229ha) 다음으로 큰 규모의 수목원인데요. 국내·외 고산지역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희귀·특산식물을 수집보존하고 있으며, 각각 희귀식물 326종(57.1%), 특산 식물 162종(45.0%)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호랑이 숲은 축구장 6개 크기(총 3.8ha)와 맞먹는 규모로 국내에서 가장 넓은 사육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봉화 예던길 : 도천교 ~ 낙동강시발점테마공원 ~ 선유교 ~ 청량산종합상가지구주차장

봉화 예던길 정보

봉화-예던길
봉화 예던길은 낙동강시발점과 봉화 청량산 입구를 잇는 국도 35번 주위의 강변길로 퇴계 이황이 젊은 날 입신을 위해 즐겨 걷던 옛길이다. 은퇴 후 노년에도 학문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이 길을 걸었으며 그가 세상을 뜬 후에도 많은 후학들이 먼 길을 마다 않고 찾아와 옛 스승이 다니던 길을 즐겨 밟았다. 예던길은 퇴계 선생이 봉화 청량산을 오가던 길을 복원한 길로 퇴계선생의 종택이 있던 곳에서 봉화 청량산까지의 50리길이며 퇴계선생이 배움을 찾아 13세부터 숙부 이우를 찾아 청량산 오산당(지금의 청량사)까지 걸어 다녔던 길이라고 한다. 예던길의 예던이란 말은 요즘엔 안쓰는 말이지만 예다는 “다니다”라는 뜻으로 “다니던 길”이란 정도의 뜻이라고 한다.

정선 항골숨바우길 트레킹

항골숨바우길 정보

항골숨바우길
항골 생태탐방로는, 북평면 북평리의 백석봉(해발 1,170m)과 상원산(해발 1,421m)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골짜기로, 탐방로의 총길이는 약 7.7km이며 안전사고 등 비상시를 대비하여 각 0.75km, 2.85km, 4.75km 지점에 우측임도와 연결된 총 3개소의 진출입로가 있다. 생태탐방로를 이용하면서 만날 수 있는, 대표적인 명소로는 너래바위, 용소, 거북바위, 왕바위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