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항골숨바우길 트레킹

항골숨바우길 정보

항골숨바우길
항골 생태탐방로는, 북평면 북평리의 백석봉(해발 1,170m)과 상원산(해발 1,421m)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골짜기로, 탐방로의 총길이는 약 7.7km이며 안전사고 등 비상시를 대비하여 각 0.75km, 2.85km, 4.75km 지점에 우측임도와 연결된 총 3개소의 진출입로가 있다. 생태탐방로를 이용하면서 만날 수 있는, 대표적인 명소로는 너래바위, 용소, 거북바위, 왕바위소 등이 있다.

정선 항골숨바우길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025년 7월 20일 일요일, 09:56 - 12:34

2. 트레킹 장소 : 정선 항골숨바우길

3. 소재지 :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4. 트레킹 코스 : 항골계곡주차장 → 항골계곡 입구, 돌탑, 항아리들 → 등마루 쉼터 갈림길 → 항골숨바우길 입구 → 너래바위 → 제1진출입로 → 나도폭포 → 제1용소 → 섬소나무 → 거북바위 → 모래소 → 화전민 마을터 → 왕바위소 → 제2진출입로 → 제2용소 → 쌍폭포 → 긴폭포 → 제3진출입로 → 징검다리 → 항골계곡주차장

5. 트레킹 거리 및 소요시간 : 10.56km(2시간 38분)

항골계곡주차장(09:56) → 3.65km → 제2용소(10:54) → 1.63km → 징검다리(11:26) → 5.28km → 항골계곡주차장(12:34)

정선 항골숨바우길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항골숨바우길-지도

항골숨바우길 트레킹 후기 및 사진

1. 항골계곡주차장

항골계곡주차장

▲ 항골계곡주차장(강원 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445)에서 항골숨바우길 트레킹을 시작합니다.

항골계곡숲길-안내도

▲ 항골계곡주차장의 항골계곡 숲길 안내도

항골계곡주차장

▲ 항골계곡주차장에서 항골 숨바우길은 서쪽 방향입니다.

2. 항골계곡 입구, 돌탑, 항아리들

항골계곡입구-돌탑-항아리들

▲ 블랙야크 2025 강원 오감트레킹 챌린지 항골숨바우길 인증위치인 "항골계곡입구, 돌탑, 항아리들"입니다.

항골계곡입구-돌탑-항아리들

▲ 항골계곡입구, 돌탑, 항아리들

이곳에 있는 돌탑은 북평면 지역주민들이 간절한 소망을 담아 돌하나하나에 정성을 대해 쌓아 올린 "소망의 탑"입니다. 돌을 활용하여 쌓은 탑으로 조그만 충격에도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방문하여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돌탑 근처에 접근하거나 올라서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익희와바우

▲ 뒤돌아본 항골숨바우길 익희와 바우

3. 등마루 쉼터 갈림길

등마루-쉼터-갈림길

▲ 등마루 쉼터 갈림길(← 백석봉 정상 4.16km·등마루쉼터 3.00km·화장실, 등마루 쉼터 7.06km· 숨바우길 입구 0.22km ↑)입니다. 왼쪽 등산로는 등마루 쉼터로 바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4. 항골숨바우길 입구

항골숨바우길-입구

▲ 등산객들이 모여있는 곳이 항골숨바우길 입구입니다.

항골숨바우길-안내판

▲ 항골숨바우길 입구의 항골숨바우길 안내판인데요. 항골 생태탐방로의 총길이를 약 7.7km로 표기하고 있는데, 7.7km는 항골계곡주차장으로부터 등마루 쉼터까지의 거리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5. 너래바위

너래바위-안내판

▲ 너래바위 안내판

너래바위

▲ 항골계곡의 너래바위

너래방석이라고 불리며 마을사람들이 천렵을 하던 장소

* 천렵 : 더위를 피하거나 여가를 즐기기 위해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냇가에서 고기를 잡으며 하루를 즐기는 놀이. 천렵은 봄이나 가을에도 즐기지만 여름철 특히 '삼복' 중에 주로 이루어진다.

6. 제1진출입로

제1진출입로

▲ 제1진출입로(↓ 숨바우길 입구 0.70km, 제2갈림길 2.02km·제1용소 0.27km↑, 제1진출입로 0.23km →)

7. 나도폭포

나도폭포

▲ 나도폭포

여름에는 시원폭포, 겨울에는 얼음폭포, 가물 때는 졸졸폭포, 아무리 작아도 사계절 "나도폭포"

8. 제1용소

제1용소

▲ 제1용소 전망대입니다. 산림청 명품숲길 항골숨바우길 스탬프가 있네요.

제1용소

▲ 제1용소

주변에 단풍나무들이 많아 가을에 절경을 이루는 제1용소는 그 소의 깊이가 명주실 한 타래를 풀어도 바닥이 닿지 않을 정도로 수심이 깊다. 어느 날 화전민들이 키우던 송아지가 사라진적이 있었는데, 용소계곡 쪽에 고삐만 둥둥 떠 있었던 유래도 있다. 또한 화전민들이 기우제를 지냈던 장소이다.

9. 섬소나무

섬소나무

▲ 섬소나무

바위를 가르며 자르는 오래된 소나무, 섬 위에 있는 듯하다고 섬소나무라고 불린다.

10. 거북바위

거북바위

▲ 거북바위

거북이 옆모습처럼 생겨서 거북바위라고 불린다.

11. 모래소

모래소

▲ 모래소

화전민이 모래를 채취하던 장소입니다.

12. 화전민 마을터

화전민-마을터

▲ 화전민 마을터

산비탈, 산전을 개간하며 돌담 집을 지어 생활하던 화전민들이 살았던 곳이다. 1960년대 화전정리 기간 중 이곳을 떠나게 되었고, 현재는 마을터 흔적만 남아있다.

13. 왕바위소

왕바위소

▲ 왕바위소

큰 바위가 많은 곳으로 가을철 절경을 가지고 있는 장소이다.

14. 제2진출입로

제2진출입로

▲ 제2진출입로(↓ 숨바우길 입구 2.72km·제1갈림길 2.00km, 제3갈림길 2.00km·제2용소 0.40km ↑, 제2진출입로 0.28km →)입니다. 참고로 제2진출입로는 물의 수량이 많을 경우 건너기는 조금 위험한 듯합니다.

제2진출입로

▲ 제2진출입로 방향입니다.

15. 제2용소

제2용소-안내판

▲ 제2용소 안내판

제2용소

▲ 제2용소

항골에서 두 번째로 큰 용소로 주변에 자생식물인 산뽕나무, 산벚나무, 물푸레나무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고 있다.

16. 쌍폭포

쌍폭포

▲ 쌍폭포

내려온 물줄기가 두 개로 나누어지는 폭포로 쌍폭로라고 불리는 장소입니다.

17. 긴폭포

긴폭포

▲ 긴폭포

내려온 물줄기가 두 개로 나누어지는 폭포로 쌍폭포라고 불리는 장소입니다.

항골숨바우길-이정표

▲ 항골숨바우길 이정표(↓ 숨바우길 입구 4.32km·제2갈림길 1.60km, 등마루쉼터 2.56km· 제3갈림길 0.40km)

18. 제3진출입로

제3진출입로

▲ 제3진출입로(↓ 숨바우길 입구 4.72km·제2갈림길 2.00km, 백석봉 정상 3.36km·등마루쉼터 2.16km, 제3진출진입로 0.16km →)

19. 징검다리

징검다리

▲ 제3진출입로에서 가까운 징검다리까지만 건너고 다시 되돌아나갑니다.

20. 항골계곡주차장

항골계곡주차장

▲ 항골계곡주차장(강원 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445)으로 되돌아와서 항골숨바우길 트레킹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