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 한반도섬 정보
양구 한반도섬은 파로호 상류에 위치한 한반도 모양을 갖춘 인공섬으로 국토 정중앙의 양구의 지리적 상징성을 부각하기 위해 한반도 모양을 본 떠 만든 섬입니다. 섬 주변에는 163만㎡의 국내 최대습지가 조성되어 있어 나무 데크길을 다라 담수어 및 수생식물을 관찰하며 한반도섬으로 진입할 수 있고, 한반도섬에는 지리산, 한라산 같은 명산의 조형물 뿐만 아니라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 우리나를 대표하는 섬 등을 조성해 볼거리가 풍성합니다.
양구 한반도섬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025년 11월 4일 화요일, 14:13 - 15:20
2. 트레킹 장소 : 횡성호수길 5구간 + 양구 한반도섬
3. 소재지 : 강원 횡성군 갑천면 태기로 구방5길 40(횡성호수길 5구간) + 강원 양구군 양구읍 한반도섬길 76(한반도섬)
4. 트레킹 코스 : 한반도섬 입구 주차장 → 한반도섬 입구 → 한반도섬 정중앙 → 한반도섬 스카이 짚라인 → 백두산 포토존 → 무궁화동산 → 한반도섬 정중앙 → 제주도 → 한반도섬 교량 → 용머리공원 → 꽃섬 부잔교 입구(청춘조각공원) → 한반도섬 교량 → 제주도 → 지리산 포토존 → 한반도섬 정중앙 → 한반도섬 입구 → 한바도섬 입구 주차장
5. 트레킹 거리 및 소요시간 : 4.69km(1시간 7분)
한반도섬 입구 주차장(14:13) → 2.74km → 꽃섬 부잔교 입구(14:54) → 1.95km → 한반도섬 입구 주차장(15:20)
양구 한반도섬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양구 한반도섬 트레킹 후기 및 사진
1. 한반도섬 입구 주차장
▲ 한반도섬 입구 주차장(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고대리 675-30)에서 양구 한반도섬 트레킹을 시작합니다.
▲ 뒤돌아본 한반도섬 입구 주차장
2. 한반도섬 입구
▲ 나무 데크길의 청춘 양구
3. 한반도섬 정중앙(반달곰 상, 한반도섬 조형석, 아이러브양구 포토존, 카페 레이크한)
▲ 한반도섬 정중앙 이정표(← 백두대간길 지리산 방향, 한반도섬 ↑, 한반도 무궁화동산·백두대간길 백두산 방향 →)
▲ 한반도섬 입구에서 나무 데크길을 따라 한반도섬 정중앙으로 넘어왔는데요. 한반도섬 정중앙에는 반달곰 상, 한반도섬 조형석, 아이러브양구 포토존, 카페 레이크한 등이 있습니다.
▲ 반달곰 상(2010 6. 1)
천연기념물 제329호인 반달곰은 강원도민의 자긍심과 향토애를 높이기 위하여 강원도 상징동물로 지정 되었으며 양구군 한반도 섬 조성을 기념하여 도민의 단합된 뜻 등을 담아 반달곰 상을 설치합니다.
▲ 한반도섬 조형석
이 섬은 대한민국 국토의 정중앙인 양구의 위상과 이미지를 상징하기 위해 한반도 모형으로 조성하였으며(2008. 9월 준공) 국토의 기운이 결집되고 발산되는 정중앙점에 이 조형석을 설치하여 양구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민족의 통일과 번영을 기원하고자 합니다.
양구군에서는 국토정중앙의 상징적 의미를 담아 조성한 한반도섬을 명소화하기 위하여 각 시·도의 대표적 상징물 설치사업을 추친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돌하르방을 기증 받은데 이어 2009년 11월 5일 서울특별시의 상징물인 해치상을 설치하였습니다. 본 해치상은 서울 도시갤러리 도병구 작가님의 서울 해치퍼레이이드 출품작으로 작품명은 Playmate(소꼽친구)입니다. 해치는 '옳고 그름 착함과 악함을 판단할 줄 아는 상상의 동물'로 '온갖 나쁜 기운을 막아줌과 동시에 행운과 기쁨을 가져다 주는 영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무궁화동산을 둘러보고 왼쪽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 파로호 인공습지의 나무 데크길입니다. 중앙으로 보이는 작은 섬이 독도와 울릉도입니다.
▲ 한반도섬의 스카이워크
8. 제주도(돌하르방, 한라산 조형물, 포토존)
"돌하르방"은 마을의 안녕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마을입구에 세우면 모든 액운이 사자진다고 전해지는 제주의 대표적인 상징물입니다. 강원도 양구군 파로호 인공습지 내 제주도 섬 조성을 기념하여 제주특별자치도민의 정성을 모아 돌하르방을 설치합니다.(2009.7. 제주지사 김태환)
"한라산"은 높이가 1,950m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입니다. 제3기 말~~제4기 초에 분출한 휴화산으로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줄기는 제주도 중앙에서 동서로 뻗습니다. 남쪽은 경사가 심한 반면 북쪽은 완만하고, 동서쪽은 비교적 높으면서도 평탄합니다.
9. 한반도섬 교량
▲ 제주도 섬에서 다리를 건너 뒤돌아본 장면입니다.
▲ 한반도섬 교량 앞 이정표(← 용머리공원, 파크골프장 →)
10. 용머리공원
11. 꽃섬 부잔교 입구(청춘조각공원)
12. 한반도섬 교량
13. 제주도
▲ 반달 포토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