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선운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선운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고창 도솔산 선운사

고창 선운사 정보

선운사
선운사(禪雲寺)는 백제 27대 위덕왕 24년(577)에 검단선사가 창건한 뒤 통일신라기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고려 공민왕 3년(1354)에 효정 스님이 퇴락한 법당과 요사를 중수하였다. 조선시대에 절을 크게 중창한 스님은 행호국유 스님이시다. 행호 스님은 성종의 숙부인 덕원군의 도움을 받아 1474년에 2층의 장육전과 관음전을 완공한 이래 10여 년에 걸친 대작 불사를 통하여 선운사의 옛 모습을 되찾아 숭유억불의 조선시대임에도 황실의 원찰로 법등을 환하게 밝히게 되었다. 그러나 선조 3년(1597)의 정유재란 때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고, 이후 광해군 5년(1613) 불에 일관 스님과 원준 스님이 힘을 합하여 1619년까지 6년에 걸쳐 보전, 법당, 천불전, 지장전, 부도전, 능인전을 중건하여 다시 사찰의 골격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1720년까지 중건과 중수가 계속되었고 그 뒤에는 외형적인 불사보다는 걸출한 고승대덕들이 많이 배출되어 사격(절의 위상)을 드높였다. 조선후기 화엄학의 대가인 설파상언 스님과 조선후기 선문의 중흥조 백파긍선 스님을 비롯하여 구한말의 청정율사 환응탄영 스님, 그리고 근대불교의 선구자 석전 박한영 스님이 선운사에 출가하거나 수행하시면서 당대의 불교를 이끌었던 명문사찰이 되었다. 선운사 대웅보전은 보물 제290호이며 여기에 모셔진 세 분의 부처님들은 보물 제1752호이다. 박물관에 불보로 전시되어 있는 금동지장보살좌상은 보물 제279호이고, 영산전목조삼존불상, 육층석탑, 범종, 만세루, 화엄종주백파대율사대기대용지비, 석씨원류, 선운사사적기 등의 중요한 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으며, 경내의 동백나무숲, 장사송, 송악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있다. 현재, 조계종 초기불교 전문교육기관인 선운사 불학승가대학원에서는 스님들이 불학 연찬에 매진하고 있으며, 산내 암자인 참당암에서는 수좌 스님들이 참선 수행을 통해 부처님의 혜명(지혜)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불교의 사회적 실천을 위해 선운사 창건주이신 검단 스님의 중생구제의 원력을 이어 고창군종합사회복지관 등 여러 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승려 노후 수행마을을 조성하여 노 스님들이 아름답게 노후를 회향(돌려줌)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있다. 선운사 사부대중은 도솔천, 그 희망의 나라를 꿈꾸며 불자는 물론 지역 주민들과 함께 복지와 문화, 수행 공동체를 이루고자 오늘도 정진하고 있다.

고창 선운사 도솔암, 도솔천 내원궁

고창 선운사 도솔암 정보

도솔암
고창 선운사 도솔암은 마애미륵부처님과 도솔천 내원궁에 지장보살심이 주석하고 계시는 세계에서 유일한 미륵·지장보살 기도도량인데요. 도솔암의 정확한 창건 기록은 알 수 없지만 사적기에는 선운사와 함께 백제 때 창건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도솔암 내원궁의 지장보살좌상, 마애불좌상 등의 보물과 나한전과 내원궁 등 문화재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