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도솔산 선운사

고창 선운사 정보

선운사
선운사(禪雲寺)는 백제 27대 위덕왕 24년(577)에 검단선사가 창건한 뒤 통일신라기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고려 공민왕 3년(1354)에 효정 스님이 퇴락한 법당과 요사를 중수하였다. 조선시대에 절을 크게 중창한 스님은 행호국유 스님이시다. 행호 스님은 성종의 숙부인 덕원군의 도움을 받아 1474년에 2층의 장육전과 관음전을 완공한 이래 10여 년에 걸친 대작 불사를 통하여 선운사의 옛 모습을 되찾아 숭유억불의 조선시대임에도 황실의 원찰로 법등을 환하게 밝히게 되었다. 그러나 선조 3년(1597)의 정유재란 때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고, 이후 광해군 5년(1613) 불에 일관 스님과 원준 스님이 힘을 합하여 1619년까지 6년에 걸쳐 보전, 법당, 천불전, 지장전, 부도전, 능인전을 중건하여 다시 사찰의 골격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1720년까지 중건과 중수가 계속되었고 그 뒤에는 외형적인 불사보다는 걸출한 고승대덕들이 많이 배출되어 사격(절의 위상)을 드높였다. 조선후기 화엄학의 대가인 설파상언 스님과 조선후기 선문의 중흥조 백파긍선 스님을 비롯하여 구한말의 청정율사 환응탄영 스님, 그리고 근대불교의 선구자 석전 박한영 스님이 선운사에 출가하거나 수행하시면서 당대의 불교를 이끌었던 명문사찰이 되었다. 선운사 대웅보전은 보물 제290호이며 여기에 모셔진 세 분의 부처님들은 보물 제1752호이다. 박물관에 불보로 전시되어 있는 금동지장보살좌상은 보물 제279호이고, 영산전목조삼존불상, 육층석탑, 범종, 만세루, 화엄종주백파대율사대기대용지비, 석씨원류, 선운사사적기 등의 중요한 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으며, 경내의 동백나무숲, 장사송, 송악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있다. 현재, 조계종 초기불교 전문교육기관인 선운사 불학승가대학원에서는 스님들이 불학 연찬에 매진하고 있으며, 산내 암자인 참당암에서는 수좌 스님들이 참선 수행을 통해 부처님의 혜명(지혜)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불교의 사회적 실천을 위해 선운사 창건주이신 검단 스님의 중생구제의 원력을 이어 고창군종합사회복지관 등 여러 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승려 노후 수행마을을 조성하여 노 스님들이 아름답게 노후를 회향(돌려줌)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있다. 선운사 사부대중은 도솔천, 그 희망의 나라를 꿈꾸며 불자는 물론 지역 주민들과 함께 복지와 문화, 수행 공동체를 이루고자 오늘도 정진하고 있다.

고창 선운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11월 11일 화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선운산 + 도솔암 + 선운사

3.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심원면, 아산면 + 전북 고창군 아산면 도솔길 294(도솔암)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선운사) 

4. 사찰 관람 코스 : 선운사 템플스테이 → 극락교 → 선다원, 범종각, 향운전 → 명부전, 조사전, 팔상전, 산신각, 영산전 → 선운사 동백나무 숲 → 관음전, 지장보궁 → 대웅보전, 만세루 → 천왕문 → 선운사 일주문

고창 선운사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고창 선운사 다음지도

고창-선운사
카카오맵

2. 대중교통편 : 고창 선운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선운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고창 선운사 여행기 및 사진

1. 선운사 템플스테이

선운사-템플스테이

▲ 오늘은 블랙야크 명산 100에 선정된 고창 선운산 산행 하산 중에 도솔암 및 선운사를 둘러보았는데요. 현재 위치는 선운사 템플스테이입니다.

선운사-템플스테이

▲ 나를 위한 행복여행, 선운사 템플스테이

2. 극락교, 천왕문

선운사-극락교

▲ 오른쪽의 다리가 선운사의 극락교(極樂橋)이고, 왼쪽으로 들어가면 천왕문이 있습니다. 

천왕문

▲ 천왕문(天王門)인데요. 오른쪽의 종무소는 공사 중입니다. 

만세루

▲ 천왕문에서 바라본 만세루

3. 선다원, 범종각, 향운전

선다원

▲ 선다원, 범종각

선다원

▲ 선다원(禪茶院, 전통다원)

범종각

▲ 범종각(梵鐘閣)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인 선운사 범종은 천왕문 2층에 걸려 있었던 조선 후기의 동종이다. 높이 103층, 입 지름 93cm이고,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를 포함한 전체 높이는 129cm 정도이다. 우리나라 범종의 특징인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없는 대신 종 윗면에 1개의 구멍을 뚫었다 용뉴는 두 마리 용이 등을 맞대 모습으로 되어 있다.  몸체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윗부분에는 고대 인도어인 옴자를 8개의 원 안에 각각 새겼고, 그 밑에는 연꽃과 덩굴로 표현한 사각형 4개와 그 사이사이에서 합창한 채 서 있는 보살상을 표현했다. 사각형 안에는 만개한 연꽃 9송이가 장식되어 있다. 가운데 부분에는 종의 제작과 관련된 42인의 이름과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 기록을 통해 장인 권동삼과 이명환 등이 이 종을 다시 제작했고 처영 스님이 주조에 참여하고 감독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범종은 음통이 없고, 용뉴 부분이 두 마리 용으로 되어 있는 점, 몸체 가운데와 종 입구 위에 선을 두르고 있는 점 조선시대 범종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범종이 처음 제작된 해는 1788년(정조12)

향운전

▲ 향운전(香雲殿)

4. 명부전, 조사전, 팔상전, 산신각, 영산전


▲ 석가모니의 일생을 기리고 그 행적을 보여주는 전각인 영산전(靈山殿)인데요. 영산전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인 목조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명부전

▲ 명부전(冥府殿)


▲ 조사전(祖師殿)과 팔상전(八相殿)

팔상전-산신각

▲ 팔상전과 산신각(山神閣)

5. 선운사 동백나무 숲

선운사

▲ 대웅보전 뒤편의 동백나무숲

동백꽃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천연기념물)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숲은 조선 성종 때인 15C에 행호 선사가 산불에서 사찰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하였다고 한다. 3,000여 그루의 동백나무가 대웅전 뒤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데, 군락의 규모는 16,500㎡이다. 동백나무는 꽃이 피는 시기에 다라 춘백(春柏), 추백(秋柏), 동백(冬柏)으로 부르는데, 아곳 동백은 3월말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4월 중순에 절정을 이룬다. 동백나무는 차나뭇과 속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 따뜻한 지방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북 해안이나 섬에서 잘 자란다. 이곳 선운사 동백나무 숲은 동백나무 서식지의 북방 한계선을 알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동백나무 숲은 아름다운 사찰 경관을 더욱 돗보이이게 하며, 사찰림이라는 문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찰을 보호하는 방화림 역활도 하고 있어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6. 관음전, 지장보궁

관음전-지장보궁

▲ 관음전, 지장보궁

선운산

▲ 선운사 퇴설당

선운사

▲ 선운사 동상실(東上室)

지장보궁

▲ 지장보궁(地藏寶宮)

관음전

▲ 관음전(觀音殿)

선운사

▲ 능인각(能仁閣)

7. 대웅보전, 만세루

보제루와-대웅보전

▲ 만세루와 대웅보전

대웅보전

▲ 블랙야크 역사문화대장정 인증지인 "선운사 대웅보전(大雄寶殿)"입니다. 

대웅전은 절에서 특별히 숭배의 중심이 되는 주요 불상을 모신 법당이다. 선운사는 구름 속에서 참선 수도하여 큰 뜻을 깨친다는 뜻인 참선와운에서 이름이 유래하였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24교구 본사로 189개의 승려 생활시설과 89개의 작은 절 그리고 144개의 굴을 거느리던 호남 제일의 사찰이다. 선운사는 6세기 백제 위덕왕 때인 577년에 검단 선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현재의 대웅전은 정유재란 때 거의 불에 탄 것을 광해군 때인 1610년대에 다시 건축한 모습이며 그 뒤로도 수차례 수리하였다. 선운사 대웅전은 비교적 높은 석축 위에 세웠고 정면이 측면에 비해 2배 이상 크다. 기둥의 일부는 휘어진 나무를 그대로 사용하여 자연미가 느껴진다. 전체적으로 외관은 장중하며 안쪽은 단청 벽화가 매우 아름답고 세련된 모습이다. 천장의 수많은 용들이 구름 속에 몸을 감추고서 선운사를 수호하고 있는데 그 모습이 섬세하고 화려하다. 일반적으로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가운데로 하고 좌우에 부처를 모시는 보살을 두는데, 선운사 대웅전은 비로자나불을 가운데에 두고 좌우에 서방 극락정토의 주인인 아미타여래불과 중생의 병을 고쳐주는 약사여래불을 모시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모든 부처의 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비로자나불과 석가불을 일체로 보는 사상적 배경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만세루

▲ 만세루(萬歲樓)

8. 천왕문

천왕문

▲ 천왕문(天王門)

9. 선운사 일주문

일주문

▲ 선운사 일주문(一柱門)입니다. 오늘은 선운산 하산길에 들린 블랙야크 역사문화대장정 인증지인 선운사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선운사를 방문하시는 모든 분들이 건강하고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