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블랙야크 섬산100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블랙야크 섬산100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통영 연대도, 만지도

통영 연대도, 만지도 정보

연대도-만지도

연대도(烟臺島, Yeondaedo)는 통영시의 산양읍 연곡리에 있는 섬이다. 미륵도의 남쪽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학림도, 서쪽으로 만지도 그리고 동쪽으로 오곡도가 인접해 있다. 중앙의 연대봉(220m)을 중심으로 원추형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북서쪽의 완사면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지형이 가파른 편이다. 해안은 북서쪽 해안은 모래와 자갈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높이 10m의 해식애로 이루어진 암석해안이다. 섬 북쪽에 연대도 패총(사적 제335호)이 있으며 신석기 시대를 비롯하여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시대의 토기와 자기들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 가운데 일본 신석기 시대 토기들도 있어 당시 일본과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고성)에는 “연대도(煙臺島)는 현 남쪽 바다 가운데 있다.”라고 수록하였고, 『성종실록』에는 연대도(延臺島)로 기록하였다. 『호구총수』에는 춘원면 연대도리(烟臺島里)였으며, 『1872년 지방지도』 중에서 당포진과 삼천진의 지도에는 연대도로 표시하였다. 『광여도』(고성)에는 조도연대(鳥島烟臺)로 나오는데, 조도는 북쪽에 인접한 학림도의 옛 지명으로 두 섬을 묶어 함께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지명은 왜적의 침략에 대비한 연대가 산 정상에 있다고 해서 유래되었다고 전하며, 연대봉에 유적이 남아 있다.

만지도(晩地島, Manjido)는 인근의 다른 섬에 비해 비교적 늦게 사람이 입주한 섬이라는 데서 유래하여 늦은섬이라고 하며, 만지도(晩地島)는 한자지명이다. 또한, 섬의 형상이 지네와 같이 생겼다 하여 만지도(晩地島)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만지도(晩地島)는 지네에, 인근 북쪽에 위치한 저도(楮島)는 닭, 인근 동쪽에 위치한 연곡리 연대도(烟臺島)는 솔개에 비유되어 서로 먹이 사슬에 있어 함께 번성할 길지(吉地)라 한다. 저림리 저도마을 남쪽, 연곡리 연대마을 서쪽에 소재하고 있는 만지도(晩地島)는 면적이 0.232㎢이며, 해안선 길이는 2.0㎞이다. 통영시에서 남서쪽으로 10㎞에 있으며 동쪽에 연대도와 자란목도라는 암초로 연결되고, 북동쪽에학림도와저도,북쪽에대소장도(大小長島)와곤리도(昆里島),서쪽에추도,남쪽에내외부지도(內外夫支島)등이있다.

추자도 올레길(제주올레길 18-1 + 18-2코스) 트레킹

추자도 올레길 정보

제주올레길

제주올레길 18-1 코스는 추자항에서 시작하여 봉골레산, 나바론절벽(선택), 추자등대, 추자교, 돈대산 정상을 거쳐 하추자도 신양항에서 끝나는 코스인데요. 바다에 떠 있는 첩첩산중, 겹겹이 보이는 섬의 봉우리들은 섬이 아니라 깊은 산중에 들어와 있는 듯한 기묘한 감각을 느끼게 한다. 산봉우리들 아래 끝없이 푸른 바다가 펼쳐져 있다. 추자도는 발길을 이어갈 때마다, 눈길을 달리할 때마다 바다와 산이 어우러진 새로운 풍광을 쏟아낸다. 상추자와 하추자의 봉우리들을 넘고 또 넘어 이어가는 길은 추자도의 숨은 풍광을 모두 들춰내 보여준다.

제주올레길18-2코스는산봉우리를넘나들며드넓은바다를조망할수있는길로하추자의신양항부터추자면사무소까지아늑한해안길과산,마을까지볼거리가충만하다.몽돌해안과맞닿은마을길을지나졸복산과대왕산을오르내린다.산꼭대기에서바라본하추자앞바다와하늘은서로다른푸른빛깔로접해있다.묵리슈퍼를지나금파골로들어서면무성하게자란숲사이로고요한생명력이느껴진다.

추자도 올레길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자 : 2025년 4월 8일 화요일

2. 트레킹 장소 : 추자도 올레길(제주올레길 18-1코스 + 제주올레길 18-2코스)

3.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추자면대서리,영흥리,묵리,예초리,신양리

4. 추자도 올레길 일정

04:50 : 진도항(전남 진도군 임회면 진도항길 90) 도착
08:00 ~ 09 06 : 진도항에서 추자항(산타모니카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4-41)으로 이동
09:06 ~ 16:29 : 추자도 올레길(제주올레길 18-1 + 제주올레길 18-2코스) 트레킹
17:57 ~ 19:05 : 추자항에서 진도항(산타모니카호)으로 이동
* 추자항에서 17:35분에 출항할 예정이었으나 너울성 파도로 인해 약 20분이 지체되었네요.

5. 추자도 올레길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 23.03km(7시간 23분)

제주올레길18-1코스(추자항 → 봉골레산 → 용둠벙전망대 → 나바론하늘길 입구→ 나바론하늘길 132m봉 → 추자중계소 → 큰산 → 영흥리마을갈림길 → 추자등대 → 추자교 → 추자정수장(담수장) → 돈대산(164m,인증) → 돈대산입구 → 엄바위장승→ 예초포구 → 황경한의묘 →신양항) + 제주올레길18-2코스(신양항 → 석두청산정자 → 졸복산전망대 → 대왕산 → 묵리슈퍼 → 추자교 → 추자도 어민 대일항쟁기념비 → 추자등대주차장 → 추자항)

추자도 올레길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추자도-올레길-지도

추자도 올레길 트레킹 후기

제주올레길 18-1코스 : 추자항 ~ 봉골레산 ~ 나바론 하늘길 ~ 돈대산 ~ 신양항

제주올레길 18-1코스 정보

제주올레길-18-1코스
제주올레길 18-1 코스는 추자항에서 시작하여 봉골레산, 나바론절벽(선택), 추자등대, 추자교, 돈대산 정상을 거쳐 하추자도 신양항에서 끝나는 코스인데요. 바다에 떠 있는 첩첩산중, 겹겹이 보이는 섬의 봉우리들은 섬이 아니라 깊은 산중에 들어와 있는 듯한 기묘한 감각을 느끼게 한다. 산봉우리들 아래 끝없이 푸른 바다가 펼쳐져 있다. 추자도는 발길을 이어갈 때마다, 눈길을 달리할 때마다 바다와 산이 어우러진 새로운 풍광을 쏟아낸다. 상추자와 하추자의 봉우리들을 넘고 또 넘어 이어가는 길은 추자도의 숨은 풍광을 모두 들춰내 보여준다.

여수 돌산도 봉황산, 금오산

봉황산, 금오산 정보

봉황산

1. 봉황산

돌산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봉황산은 해발 460m로 돌산읍 율림리, 서덕리, 죽포리에 걸쳐 있으며 예로부터 봉황이 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상산으로도 불린다. 정상을 중심으로 등산로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주변의 아름다운 바다를 조망하며 산행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최적의 등산코스로 봉황산에서 남동으로 흘러가는 산릉을 따라 섬 최남단 끝머리에 위치한 아름다운 기암 덩어리인 금오산(향일암)과 연결하여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는 산이다.

2. 금오산

금오산(金鰲山, Geumosan)은 여수시의 돌산읍 율림리와 금성리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323m). 돌산도 남동쪽 해안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서쪽을 제외하고 급경사의 암석 해안과 이어진다. 우리나라 4대 관음 기도처 중의 하나인 향일암(도 지방문화재 제40호)이 있다. 금오산에 대한 기록은 구한말에 등장하는데『돌산군읍지』에 돌산도의 팔대산 중에 금오산이 있으며, “금오산은 군의 동쪽 20리에 있다. 산이 모두 흰 돌이며 거북이 모양으로 (중략) 소금강(小金剛)이라칭한다.”고 하였다. 『조선지지자료』(돌산)에 율림리에 있는 산으로 기재되어 있다.『1872년지방지도』(순천방답진)에 지명은 보이지 않으나 향일암과 함께 산으로 묘사된 지역에 “진(鎭)으로부터 45리”라는 표기가 있다. 『돌산군읍지』의 지도에는 돌산군 동남단에 암석산으로 금오산이있으며 향일암을 함께 표기했다. 금오산이 거북이 모양이므로 지명이 유래했다고 전하며 풍수지리상 금오산 향일암은 경전을 등에 모신 금거북이가 바다 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이라고 한다.

부안 위도 대월습곡과 망월봉

부안 위도 대월습곡과 망월봉 정보

부안-위도-망월봉-대월습곡

1. 위도(蝟島)

위도의 명칭은 고슴도치를 뜻하는 '위(蝟)'와 섬을 뜻하는 '도(島)'에서 비롯되었다. 본래 사용하던 '위(猬)'가 조선후기에 '위(蝟) 자로 바뀌어 정착이 되었는데, 이 두 한자는 모두 고슴도치를 나타낸다. 위도 주민들은 위도의 전체적인 모습이 고슴도치와 흡사하다고 믿으며, 마을 명칭 역시 고슴도치 신체 부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고슴도치 머리 부위에 해당되는 곳이 위도의 관문인 파장금이고, 파장금 앞에 위치한 섬 식도(食島)를 고슴도치의 먹이로 생각하여, 위도 주민들은 식도를 '밥섬'이라 부르게 되었다. 오래전부터 위도라는 섬의 명칭에 고슴도치가 등장하게 된 것은, 섬의 전체적인 모습이 고슴도치를 닮았기 때문이다. 송나라의 문신인 서긍이 남긴 '선화봉사고려도경'에는 고섬섬(고슴도치털섬)이라는 섬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곳이 오늘날의 위도이다.

2.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大月褶曲, 천연기념물)

다양한 주향을 보이는 정단층과 역단층이 모두 관찰되는 특징, 이암과 사암의 경계에서 관찰되는 연질퇴적변형구조, 방사성동위원소 분석에 의해 확인된 퇴적시기 (백악기, 8천7백만 년 전 – 8천6백만 년 전), 습곡층 상, 하부에 나타나는 비변형 퇴적층 등은 위도 진리 대월습곡이 광역압축응력에 의해 형성된 습곡이 아님을 지시한다. 퇴적 이후, 퇴적층 내에서 사태(slumping)가 발생하게 되면 사태 퇴적층(slump deposits)의 말단부에서는 습곡 및 역단층이 발달하게 되며, 이 경우 층의 내부에는 연질퇴적변형구조가 관찰되고, 사태 퇴적층 상, 하부의 지층은 변형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위도 진리 대월습곡의 특징과 동일하며, 이는 위도 진리 대월습곡이 층 내 사태에 의해 형성된 습곡구조임을 지시한다. 중생대벌금리층의파식대지의해안절벽에위치하고,수십m높이로규모가대단히크며,이러한대규모습곡은국내에서는드물게관찰되며경관또한매우우수하다.

3. 위도 망월봉(望月峰)

위도에서 가장 높은 254m의 망월산에서 둥근달이 떠오르는 모습을 가리킨 것이며 둥근달이 산봉우리를 벗어나면서 바다에 비춰지는 달은 한 폭의 그림을 보는듯한 아름다운 장관의 극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