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선사 정보
금선사는 고려와 조선이 왕조교체기 때 무학(無學)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무학대사는 조선의 도읍을 정하고자 삼각산을 살피던 중, 지금의 금선사 터에 삼각산의 정기가 서려있고, 부처님이 상주하시며 중생들을 제도하는 형상과 같다고 하여 절을 짓고, 금선(金仙:금빛의 신선 즉, 부처)사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목정굴이 관음기도성지로 알려졌다. 또한 금선사 농산스님이 정조의 왕세자인 순조로 환생하였다는 설화도 전해지는데, 이를 계기로 1791년 정조의 명으로 원찰이 되기도 하였다. 설화에 의하면 금선사의 농산스님은 조선후기 사찰에 가해지는 각종 국역에 의해 피폐해지는 불교를 구해낸 인물로 묘사되어 있어 사찰의 규모는 작아도 위상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금선사는 조선후기 사대부 문인들(신정하, 조수삼, 박규수 등)과 스님들이 활발하게 교유한 장으로도 가능하였다. 특히 추사 김정희의 아우 김명희와 초의스님과는 교유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처럼 창건 이래로 신령한 기운과 문학이 숨쉬는 명찰로 법등을 잇다가 일제강점기에 관리소홀로 인하여 퇴락하게 되었다. 이후 1957년에 이를 안타깝게 여긴 도공 스님이 옛터에 중건하고, 법안 스님이 주석하며 1996년에 목정굴을 복원한 것을 필두로 대적광전, 삼성각, 반야전, 미타전, 설선당, 적묵당, 범종루 등의 각 전각과 요사를 신증축하여 현재 가람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