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

북한산 삼천사 정보

삼천사

삼천사는 서기 661년(신라 문무왕1) 원효(元曉)대사가 개산(開山)하였다. 1482년(조선 성종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과 《북한지(北漢誌)》에 따르면 3,000여 명이 수도할 정도로 번창했다고 하여 사찰 이름도 이 숫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1592년(조선 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하였고, 임란 중에 소실되었으나 뒷날 이 절의 암자가 있던 마애여래입상 길상터에 진영 화상이 삼천사(三千寺)라 하여 다시 복원하였다. 평산 성운 화상의 발원과 삼천사 불자들의 염원을 함께하여 조성된 세존진신사리불탑은 한국 석탑의 대표로 뽑는 국보 제48호 오대산 월정사 9층 석탑과 인도 석탑의 대표인 초전법륜지인 사르나트아쇼까 (석주 4두(四頭) 사자상) 대탑을 원형 그대로 접목하여 탑신을 15m 크기로 한국/인도형 세존진신사리불탑으로 나투었다. 또한, 현 삼천사 위치에서 2km 위쪽의 옛 삼천사 터에서 발굴된 대형 석조(石槽)와 동종(銅鐘), 연화대좌(蓮花臺座), 석탑기단석(石塔基壇石), 석종형부도(石鐘形浮屠), 대지국사(大知國師) 법경(法鏡)의 비명(碑銘)등 600여 점의 문화재가 발굴되었고 그중 동종은 보물로 지정받아 현재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970년대에 삼천사 주지로 부임한 평산 성운 화상이 경내에 위치한 마애여래입상이 천년 고불(古佛)임을 입증하여 보물 제657호로 지정받고 50여 년의 중흥 불사를 통해 대웅보전, 산령각, 천태각, 연수원, 요사채 등의 30여 동의 건물과 세존진신사리불탑, 지장보살입상, 종형사리탑, 관음보살상, 5층 석탑, 중창비 등을 조성하여 현재의 문화재 전통사찰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연 20여만의 수많은 방문객들의 기도도량, 참회도량, 수행도량으로서 참배하는 사찰로 확고히 자리하게 되었다.

북한산 삼천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4년 11월 17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북한산 의상봉 + 국녕사 + 삼천사

3. 소재지 : 서울 은평구 연서로54길 127

4. 사찰 관람 코스 :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 산령각·나한전 → 대웅보전 → 세존진신사리불탑 → 일주문

북한산 삼천사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북한산 삼천사 다음지도

북한산-삼천사-다음지도
카카오맵

2. 대중교통편 : 북한산 삼천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삼천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북한산 삼천사 여행기 및 사진

1.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산령각, 나한전

삼천사

▲ 오늘은 블랙야크알파인클럽(BAC) 챌린지 프로그램 중 하나인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사찰인 국녕사에 이어 삼천사를 들렸습니다.

마애여래입상-산령각

▲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三川寺址 磨崖如來立像, 보물)과 산령각(山靈閣)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마애불로서 삼천사 경내 계곡의 병풍바위에 각인되어 있다. 두광(頭光)부터 연화좌(蓮花座)까지 조각의 전체 높이는 약 3.03m이고 불상의 높이는 약 2.6m에 달한다. 상호(相好, 부처님의 얼굴)와 불신(佛身)의 상반부는 양감 있게 돋을새김으로 조각하였고, 군의(裙衣)와 광배 그리고 연화좌는 선(線)새김으로 묘사하여 마치 조각 작품인데도 선묘화(線描畵) 같은 느낌을 준다. 불상의 어깨 좌우에 큰 사각형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애불을 감싸는 목조가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광배(光背)는 두광과 신광의 표현에 차이를 두고 있다. 두광은 이중의 동심원으로 조각하였고 신광(身光)은 한 줄로 새겼다. 육계(肉髻)는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으로 큼직하게 조각하였다. 상호는 반쯤 눈을 뜨고 입가에는 가벼운 미소를 띠고 있어서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양 눈썹 사이에는 백호(白毫)가 있는 있는데 보석을 감입하고 있다. 법의(法衣)는 전반적으로 다소 두껍게 나타내어 새로운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대의(大衣)는 양쪽 어깨를 모두 감싼 통견으로 길게 발등 위까지 늘어져 있고 그 안에 입은 내의(內衣)가 가슴부근에 비스듬히 보인다. 내의를 묶은 띠 매듭이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어 장식성을 더한다. 수인(手印)을 살펴보면, 오른손은 허벅지 부근으로 내려뜨려 옷자락을 살며시 잡고 있는 듯 표현하였고, 왼손은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배 앞쪽에 위치해 두고 있다. 오른손에 비해 왼손의 동세가 더 크게 표현되어 있는 것에 비례하여 대의의 주름 개수도 차이를 두고 있어서 묘사력을 갖춘 실력 있는 조각가의 작품임을 짐작할 수 있다. 발밑의 대좌(大坐)는 연꽃잎이 위쪽으로 피어난 앙련(仰蓮)의 연화좌로 표현하였는데 꽃잎은 중엽으로, 꽃잎 사이에는 간엽까지 표현하여 내의의 띠 매듭과 더불어 장식성을 더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원만하고 다소 단조로워 보이지만, 불상의 위쪽과 아래 부근의 조각기법에 변화를 둔 점, 광배 역시 두광과 신광의 차이를 둔 점, 육계는 나발 없이 민머리로 표현하면서도 띠 매듭과 연화좌는 장식성을 가미한 점 등에서 단아함 속에서 다양함을 구사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마애불이라고 할 수 있다.

삼천사지는 고려시대의 유명한 법상종(法相宗) 사찰 터로 고려 전기 현종대에 크게 활약했던 대지국사(大智國師) 탑비(시도유형문화유산)도 발굴되었다. 삼천사지 대지국사 탑비는 마애여래입상과 함께 삼천사의 고려시대 사찰 터의 가치를 이어나가고 있다.

나한전

▲ 나한전(拏漢殿, 오백성중전)

2. 삼천사 대웅보전

삼천사-대웅보전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인증위치인 "삼천사 대웅보전"입니다.

일주문으로-내려가는-길

▲ 일주문으로 내려가는 길

뒤돌아본-대웅보전

▲ 뒤돌아본 대웅보전

3. 세존진신사리불탑

세존진신사리불탑

▲ 세존진신사리불탑

세존진신사리 불탑은 한국 석탑의 새로운 양식으로, 오대산 월정사 8각 9층탑(국보 제48호)과 초전법륜지인 인도 사르나트아쇼까 석주 4두 사자상을 원형 그대로 접목한 탑신 15m로서 삼천사 사부대중의 염원과 아쇼까 왕의 지극한 발원을 그대로 표현하였다. 상륜부의 아쇼까 4두 사자상은 8정도의 가르침이 담긴 법륜에 안치되었고, 9류 중생의 안녕과 보살이 화엄 10지에 이른 후 정토세계의 9품 연대에 오르기를 발원하는 보리심이 불탑에 그대로 묘사되었다. 기단과 탑신부에는 석굴암 8부 신장과 사천왕상, 8보살상과 8여래불이 양각으로 조각되었다. 불탑 복장에는 오색영롱한 세존사리 7과와 불자들이 소지한 금은 칠보로 염원과 정성이 담긴 공양물인 봉안되었다.

4. 일주문

일주문

▲ 뒤돌아본 삼각산 삼천사(三角山 三千寺) 일주문

5층-석탑

삼천사-안내판

▲ 오늘은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인증지 증 하나인 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를 소개해드렸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