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삼천사 정보
북한산 삼천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4년 11월 17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북한산 의상봉 + 국녕사 + 삼천사
3. 소재지 : 서울 은평구 연서로54길 127
4. 사찰 관람 코스 :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 산령각·나한전 → 대웅보전 → 세존진신사리불탑 → 일주문
북한산 삼천사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북한산 삼천사 다음지도
2. 대중교통편 : 북한산 삼천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삼천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북한산 삼천사 여행기 및 사진
1.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산령각, 나한전
▲ 오늘은 블랙야크알파인클럽(BAC) 챌린지 프로그램 중 하나인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사찰인 국녕사에 이어 삼천사를 들렸습니다.
▲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三川寺址 磨崖如來立像, 보물)과 산령각(山靈閣)
광배(光背)는 두광과 신광의 표현에 차이를 두고 있다. 두광은 이중의 동심원으로 조각하였고 신광(身光)은 한 줄로 새겼다. 육계(肉髻)는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으로 큼직하게 조각하였다. 상호는 반쯤 눈을 뜨고 입가에는 가벼운 미소를 띠고 있어서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양 눈썹 사이에는 백호(白毫)가 있는 있는데 보석을 감입하고 있다. 법의(法衣)는 전반적으로 다소 두껍게 나타내어 새로운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대의(大衣)는 양쪽 어깨를 모두 감싼 통견으로 길게 발등 위까지 늘어져 있고 그 안에 입은 내의(內衣)가 가슴부근에 비스듬히 보인다. 내의를 묶은 띠 매듭이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어 장식성을 더한다. 수인(手印)을 살펴보면, 오른손은 허벅지 부근으로 내려뜨려 옷자락을 살며시 잡고 있는 듯 표현하였고, 왼손은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배 앞쪽에 위치해 두고 있다. 오른손에 비해 왼손의 동세가 더 크게 표현되어 있는 것에 비례하여 대의의 주름 개수도 차이를 두고 있어서 묘사력을 갖춘 실력 있는 조각가의 작품임을 짐작할 수 있다. 발밑의 대좌(大坐)는 연꽃잎이 위쪽으로 피어난 앙련(仰蓮)의 연화좌로 표현하였는데 꽃잎은 중엽으로, 꽃잎 사이에는 간엽까지 표현하여 내의의 띠 매듭과 더불어 장식성을 더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원만하고 다소 단조로워 보이지만, 불상의 위쪽과 아래 부근의 조각기법에 변화를 둔 점, 광배 역시 두광과 신광의 차이를 둔 점, 육계는 나발 없이 민머리로 표현하면서도 띠 매듭과 연화좌는 장식성을 가미한 점 등에서 단아함 속에서 다양함을 구사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마애불이라고 할 수 있다.
삼천사지는 고려시대의 유명한 법상종(法相宗) 사찰 터로 고려 전기 현종대에 크게 활약했던 대지국사(大智國師) 탑비(시도유형문화유산)도 발굴되었다. 삼천사지 대지국사 탑비는 마애여래입상과 함께 삼천사의 고려시대 사찰 터의 가치를 이어나가고 있다.
▲ 나한전(拏漢殿, 오백성중전)
2. 삼천사 대웅보전
▲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인증위치인 "삼천사 대웅보전"입니다.
▲ 일주문으로 내려가는 길
▲ 뒤돌아본 대웅보전
3. 세존진신사리불탑
▲ 세존진신사리불탑
4. 일주문
▲ 뒤돌아본 삼각산 삼천사(三角山 三千寺) 일주문
▲ 오늘은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인증지 증 하나인 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를 소개해드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