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올레길 18-2코스 : 신양항 ~ 석두청산정자 ~ 대왕산 ~ 추자교 ~ 추자항

제주올레길 18-2코스 정보

제주올레길-18-2코스

제주올레길 18-2코스는 산봉우리를 넘나들며 드넓은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길로 하추자의 신양항부터 추자면사무소까지 아늑한 해안길과 산, 마을까지 볼거리가 충만하다. 몽돌해안과 맞닿은 마을길을 지나 졸복산과 대왕산을 오르내린다. 산꼭대기에서 바라본 하추자 앞바다와 하늘은 서로 다른 푸른 빛깔로 접해있다. 묵리슈퍼를 지나 금파골로 들어서면 무성하게 자란 숲 사이로 고요한 생명력이 느껴진다.

제주올레길 18-1, 18-2 트레킹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025년 4월 8일 화요일, 09:06 - 16:29

2. 트레킹 장소 : 제주올레길 18-1코스(나바론하늘길 경유) + 제주올레길 18-2 코스

3.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영흥리, 묵리, 예초리, 신양리

4. 트레킹 코스 : 제주올레길 18-1코스(추자항 → 봉골레산 → 용둠벙전망대 → 나바론하늘길 입구 → 나바론 하늘길 132m봉 → 추자중계소 → 큰산 → 영흥리 마을 갈림길 → 추자등대 → 추자교 → 추자정수장(담수장) → 돈대산(164m, 인증) → 돈대산 입구 → 엄바위장승 → 예초포구 → 황경한의 묘 → 신양항) + 제주올레길 18-2코스(신양항 → 석두청산정자 → 졸복산전망대 → 대왕산 → 묵리슈퍼 → 추자교 → 추자도어민대일항쟁기념비 → 추자등대주차장 → 추자항)

5. 트레킹 거리 및 소요시간 : 23.03km(7시간 23분)

추자항(09:06) → 2.85km → 용둠벙전망대(10:03)→ 1.29km → 큰산(10:52) → 1.45km → 추자교(11:20) → 2.85km → 돈대산(12:15)→ 4.85km → 신양항(13:30) → 7.58km → 추자교(15:49) → 2.16km → 추자항(16:29)

제주올레길 18-1코스, 18-2코스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제주올레길-18-1-18-2코스-지도

제주올레길 18-2코스 트레킹 및 사진

1. 신양항

신양항

▲ 하추자도 신양항(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신양리)에서 제주올레길 18-1코스에 이어 18-2코스를 이어 걷습니다.

뒤돌아본-신양항

▲ 뒤돌아본 신양항의 신양항여객선대합실

추자중학교-버스정류장

▲ 추자중학교 버스정류장

장작평사몽돌해변

▲ 신양항 해경부두와 앞쪽의 장작평사몽돌해변

물고기-떼

▲ 장작평사몽돌해변 끝지점의 물고기 떼

2. 석두리맑은마당

석두리-밝은바당

▲ 앞쪽의 갈림길을 제주도올레길 지도에서는 '석두리맑은바당'으로 표기하고 있는데요. 바당은 제주도방언으로 바다란 뜻이라고 합니다. 즉, 도로 왼편에 있는 '맑은바다'란 뜻으로 보이네요.

3. 석두청산정자

석두청산정자

▲ 위쪽의 정자가 석두청산정자입니다.

석두청산정자-수덕도-청도

▲ 석두청산정자에서 바라본 추자 10경 중의 하나인 수덕도와 청도

수덕낙안(水德落雁, 수덕도) : 사자형상의 수덕도 섬 꼭대기에서 기러기가 먹이를 쫓아 바다로 쏜살같이 내려 꽂히는 광경
석두청산(石頭靑山, 청도) : 사람머리 같은 산꼭대기 암반 사이사이에서 푸른 소나무들이 멋진 경치를 이룸

뒤돌아본-석두청산정자

▲ 뒤돌아본 석두청산정자

4. 졸복산전망대

졸복산

▲졸복산전망대 1(左)과 졸복산(右)

졸복산-전망대-2

▲ 졸복산전망대 2

수덕도-청도

▲ 졸복산전망대 2에서 바라본 수덕도와 청도

대왕상-정상으로-가는-길

▲ 대왕산 정상으로 가는 길입니다.

발건강체험장

▲ 앞으로 보이는 봉우리가 대왕산 정상이고 오른쪽으로 보이는 건물은 발건강(족욕) 체험장인데, 소각장 가동후 열이 발생될 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뒤돌아본-졸복산

▲ 뒤돌아본 수덕도, 청도, 졸복산, 밝미역섬

5. 대왕산

대왕산

▲ 대왕산 정상(125m)

대왕산-큰산

▲ 대왕산에서 내려가는 계단에서 바라본 섬생이, 용둠벙전망대, 큰산, 추자등대, 봉골레산, 수령섬, 용둠벙정

6. 용둠벙정, 용둠벙숲길

용둠벙정

▲ 용둠벙정

용둠범의-전설-안내석

▲ 용둥범의 전설 안내석

용둠벙-전설-안내석

▲ 뒤돌아본 용둥벙의 전설 안내석과 제주하루방

추자도 신양2리 해발 125m의 높은 대왕산이 있고, 산 절벽 아래에는 직경 5m, 길이 1m 정도의 용둠벙(용이 살던 연못)이 있다. 또 용둠벙에서 좀 떨어진 곳에 직경 2.5m, 길이 20m 정도의 작은 굴이 있는데 이 굴과 연못이 용이 살다가 승천한 곳이다.

용둠벙-숲길

▲ 왼쪽 용둠벙숲길로 진행합니다.

팔각정자

▲ 팔각정자와 제주올레길 18-2 스탬프

용둠벙숲길-안내판

▲ 용둠벙숲길 안내판이 있는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7. 대왕산입구 버스정류장, 신양2리 버스정류장, 장작평사 한옥마을

대왕산입구-버스정류장

▲ 앞의 대왕산입구 버스정류장(추자선맛집)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신양2리-버스정류장

▲ 신양2리 버스정류장

장작평사-한옥마을

▲ 장작평사 한옥마을, 신양2리(新陽二里)

1988년 1월 1일부터 신양리에서 신양2리로 행정분리된 신양2리는 예로부터 장작지로 불리웠는데 마을 앞 해변에 길게 펼쳐진 몽돌자갈해안에서 유래하였다. 마을이 형성될 때부터 창원황씨의 집성촌이었으며 진양하씨, 윤씨, 이씨, 김씨 이외 여러 성씨들이 마을을 이루었다. 추자 10경 중 장작평사(長作平沙), 석두청산, 수덕낙안 등 3경을 보유하고 있다. 일찍부터 추자에서 가장 넓은 농토가 있고 물이 많아 벼농사를 지었던 유일한 마을이며 태풍의 피해가 없는 풍요로운 마을이었다. 마을 앞에는 일몰이 아름다운 대왕산(125m)이 높이 솟아있고 그 아래 용 세 마리가 하늘로 승천한 '용둠벙'이 있으며 매년 마을의 안녕을 빌며 용신제를 지냈다고 한다. 현재 신양2리에서는 마을회관과 노인회관, 휴양센터 등을 한옥으로 조성하여 마을 일대를 한옥마을 관광지로 탈바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숲속으로

▲ 숲속으로 진행합니다.

추자로

▲ 숲속에서 나와 추자로를 걷습니다.

8. 묵리 버스정류장, 묵리슈퍼

묵리-버스정류장

▲ 묵리 버스정류장(← 닭목재 100m·처녀당 10m, 진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묵리-경로당-표지석

▲ 묵리경로당 표지석

묵리슈퍼

▲ 묵리슈퍼

왼쪽-숲기로

▲ 왼쪽 숲길로 이동합니다.

갈림길

▲ 이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제주올레길 18-1코스의 '묵리교차로'로 가는 길인 것 같습니다.

갈림길

▲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9. 금파골

금파골

▲ 금파골

오른쪽으로-도는-구간

철조망

▲ 철조망

오른쪽으로

10. 추자교

추자교로-내려섭니다

▲ 상추자도와 하추자도를 이어주는 추자교로 내려섭니다.

추자교

▲ 추자교를 건넙니다.

11. 추자도어민 대일항쟁기념비

한전MCS(주)-추자도사업소

▲ 한전MCS(주) 추자도사업소(左)와 추자도어민 대일항쟁기념비(右)

추자도어민대일항쟁기념비

▲ 추자도어민대일항쟁기념비

추자도-충혼묘지-입구

▲ 추자도 충혼묘지 입구(左)

추자등대주차장-방향으로

▲ 왼쪽의 추자등대주차장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추자등대주차장으로-올라감

12. 추자등대주차장

추자등대주차장

▲ 추자등대주차장(← 등대전망대, 진행방향 ↑)인데요. 오른쪽으로 화장실이 있습니다.

내려가는-길

BULKCOFFEE

오른쪽으로-내려감

추자로로

▲ '추자로'로 내려갑니다.

13. 영흥리쉼터, 추자보건지소

영흥리쉼터

▲ 영흥리 쉼터

추자보건지소

▲ 추자보건지소

추자항-광장

▲ 추자도문화공연장이 있는 추자항 광장

추자도-굴비조형물

▲ 추자도 굴비조형물

대서리-사무소

▲ 대서리사무소(左)

14. 추자도여행자쉼터, 추자면사무소

추자도-여행자쉼터

▲ 도로 왼쪽으로 보이는 추자도여행자쉼터(탐방객쉼터)와 추자면사소

추자면사무소

▲ 추자면사무소

추자면사무소

▲ 추자면사무소에서 추자항 여객선터미널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15. 추자항

추자항-여객선터미널

▲ 추자항 여객선터미널(右)

추자항-여객선터미널

▲ 추자항 여객선터미널

추자항

▲ 추자항에서 제주올레길 18-1, 18-2코스 트레킹을 마치고, 추자항 여객선터미널 2층으로 이동해 진도행 산타모니카호를 타고 추자도를 떠납니다. 원래 출항 시간은 17:35분이었는데, 너울성 파도로 인해 출항 시간이 조금 늦어져 17:57분경 추자도를 떠났습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