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의 진산인 진악산


금산 진악산 정보

진악산
충남 금산군의 남이면 성곡리·석동리·상금리·하금리와 금산읍 음지리·계진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고도:732.3m). 『신증동국여지승람』(금산)에 “서대산은 북방을 진수하고 진악산은 남방을 가리었다.”고 하고, 동일 문헌에 “진악산은 군의 남쪽 7리에 있다. 동쪽 봉우리 아래에 석혈(石穴)이 있는데 서너 걸음 들어 가면 물소리가 요란하여 깊이를 알 수가 없다. 전하는 말로는 용이 사는 곳이라고 하는데 날이 가물 때 호랑이 머리를 집어넣으면 감응이 있다고 한다.”고 하여 관련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금산군지』(1969)에서는“진악산의 정기는 바로 금산의 정기로 동일시되어 왔다. (중략) 진악산은 금산의 수호신이 될지도 모른다.”고 하고, 1987년 『금산군지』에도 “금산의 진산(鎭山)으로 금산의 정기를 대표하는 산이기도 하다.”라 하여 금산의 중심 산으로 진악산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진악산이 금산의 진산 또는 주산으로 기록된 것은 확인되지 않고, 『여지도서』(금산지도)에 진악산이 있는 남쪽이 지도의 상단에 표시된 경우는 있다. 보통 고지도의 표현에서 지도의 위쪽에는 지역의 진산 또는 주산이 위치한 경우가 많은데, 금산의 경우 지금은 그 이름조차 사라진 읍치 북쪽의 소산(所山, 비비미)이 진산이자 주산으로 유지되어 왔기 때문에 흥미로운 부분이다. 일설에는“진악이란 명칭이 즐거움이 크게 일어나는 산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고 하는데, 옛날 홍수가 났을 때 이 산만 지네만큼 남았다 하여 진악산이 되었다.” 는 전설도 전해진다. 산에는 관음봉·문필봉·노적봉· 물굴봉 등 여러 봉우리가 있는데, 그 중에서 관음봉은 강처사가 관음굴에서 어머니 병환을 낫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하여 산신령의 계시로 인삼을 얻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금산 진악산 산행 일자 및 산행코스

1. 산행 일시 :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14:32 ~ 17:20

2. 산행 장소 : 선야산 + 진악산

3.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운주면·충남 금산군 남이면(선야산) + 충남 금산군 금산읍, 남이면(진악산) 

4. 산행 코스 : 수리넘어재(진악산 광장) → 윗이동굴 갈림길 → 관음굴 갈림길 → 관음굴 → 관음굴 갈림길 → 진악산 → 물굴봉 → 개삼터 갈림길 → 도구통바위 → 영천암 입구 → 보석사 → 보석사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6.43km(2시간 48분)

수리넘어재(14:32) → 2.31km → 진악산(15:49) → 4.12km → 보석사주차장(17:20)

금산 진악산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금산-진악산-지도

금산 진악산 산행기 및 사진

1. 수리넘어재(진악산 광장)

수리넘어재

▲ 완주·금산 선야산 산행을 마치고, 수리넘어재(진악산 광장, 충남 금산군 금산읍 양지리 221-28)에 도착해 진악산 산행을 시작합니다. 수리넘어재에는 진악산 휴게소(커피), 남녀화장실, 주차장 등이 있습니다. 

진악산-등산로-입구

▲ 수리넘어재에서 '진악로'의 횡단보도를 건너면 진악산 등산로 입구(← 금산읍, 정상 2km ↑)입니다. 

이정표

▲ 이정표(← 진악산 정상 2.0km, ↓ 주차장 0.2km)

2. 윗이동굴 갈림길

▲ 윗이동굴 갈림길(↓광장 700m, 윗이동굴 1km ↑, 정상 1.3km →)에서 오른쪽 정상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진악-1-5

▲ 진악 1-5

무명봉

진악-1-7

▲ 진악 1-7

무명봉

진악산

나무-계단

▲ 나무 계단

진악산에서-바라본-천등산-대둔산

▲ 진악산에서 바라본 선야산, 선녀봉, 천등산, 대둔산

진악산-대둔산

▲ 진악산에서 바라본 대둔산, 향적산, 계룡산, 계족산, 식장산

얼굴바위

▲ 얼굴바위

3. 원효암 갈림길

원효암-갈림길

▲ 원효암 갈림길(↓ 진악산 광장 1.8km, 진악산 정상 0.2km ↑, 원효암 2.1km →)

4. 관음굴 갈림길

관음굴-갈림길

▲ 관음굴 갈림길( 관음굴 170m, ↓ 광장 1.85km, 정상 150m ↑)에서 관음굴을 다녀옵니다. 

선공암-갈림길

▲ 선공암 갈림길(← 선공암 1.45km, ↓ 정상 399m, 진행방향 ↑)인데요. 선공암 갈림길 앞쪽으로 "출입금지구역" 안내판이 있는데요. 관음굴까지는 다녀오셔도 됩니다. 

관음봉-안내판

▲ 관음봉 안내판입니다. 앞의 암릉 바위 구간의 밧줄을 잡고 바로 정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는데요. 현재는 "출입금지구역"입니다.

관음봉은 우측 비지개날로 남산과 제천대가 있고 가운데로 조종산이 자리하며 좌측으로 수리미재로 금산을 두르고 있어 진악산 주봉(732.3m)로 알려져 있다. 백제시대 강처사가 이 봉우리 아래에 있는 관음굴에서 기도를 하여 인삼의 씨앗을 얻었다고 하여 관음봉이라 한다. 진악산을 대표하는 봉우리로 생명의 원천을 이루고 있는 수리뫼 또는 관앙불봉이라고도 한다. 

철계단

▲ 철계단을 따라 관음굴로 내려갑니다.

5. 관음굴

관음굴-내부의-모습

▲ 관음굴 내부의 모습

관음굴-내부에서-촬영

▲ 관음굴 내부에서 촬영한 사진

6. 관음굴 갈림길

관음굴-갈림길

▲ 관음굴 갈림길로 되돌아와서 왼쪽 정상 뱡항으로 이동합니다. 


▲ 관음굴 갈림길 이정표

▲ 소방 시설물

7. 진악산 

진악산-정상으로-올라가는-길

▲ 앞의 봉우리가 진악산 정상입니다.

진악산-정상-헬기장

▲ 진악산 정상

진악산-정상석

▲ 블랙야크 명산100+의 진악산 인증지인 "진악산(732.3m) 정상석"입니다. 참고로 진악산(← 개삼터 3.4km, ↓광장 2.0km, 보석사 4.4km ↗)은 월간 산 100대 명산에도 선정된 산이기도 합니다.

진악산-정상에서-바라본-천등산

▲ 진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운장산, 연석산, 선야산, 선녀봉, 천등산

금산-진악산에서-바라본-서대산

▲ 진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서대산, 장령산, 천태산, 월영산, 갈기산, 황악산

진악산에서-바라본-덕유산

▲ 진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각호산, 민주시산, 청량산, 적상산, 노적봉, 덕유산, 조항산, 무룡산, 남덕유산, 물굴봉

전망바위

▲ 전망바위

진악-3-14

▲ 진악 3-14

진악산

▲ 노적봉과 물굴봉

뒤돌아본-진악산-정상

▲ 뒤돌아본 진악산 정상

분재-소나무

▲ 분재 같은 기이한 소나무

8. 물굴봉

물굴봉

▲ 앞의 봉우리가 물굴봉(↓진악산 정상 1.2km, 개삼터공원 2.9km·보석사 2.7km·영천암 1.9km·물굴(관음굴) 0.4km ↑)입니다.

물굴봉-정상석

▲ 진악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물굴봉(735.7m) 정상입니다.

진악산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735.7m)로 봉우리 아래 바우굴이 있는데 너뎃 걸음 들어가면 물소리가 요란하여 깊이를 헤아릴 수 없다. 진악산 물굴봉이 머리이고 금성산과 서대산이 몸통이며 영동 양산이 용의 꼬리에 해당되어 용이 사는 굴이라 용굴이라고 하며 날이 가물 때 호랑이 머리를 집어 넣으면 영험이 있다고 하여 기우제를 지냈다 한다. 

9. 개삼터 갈림길

개삼터-갈림길

▲ 개삼터 갈림길(↓진악산 정상, 개삼터 ↑, 보석사 →)입니다. 물굴은 개삼터 방향으로 내려갔다 돌아오시면 되는데요. 현재는 산사태로 인해 등산로가 폐쇄되었습니다. 

10. 도구통바위

도구통-바위

▲ 도구통 바위

모양이 도구통처럼 생긴 바위로 물굴봉에서 남쪽으로 내려와 바람맥이 날망에 있다. 풍수적으로 노적봉이 노적가리이고 금산읍이 확이며 도구통 바위가 절구이고 방아고개가 방아다리 형국이라 하여 금산이 부족함이 없이 풍요롭게 산다고 한다. 또산 선사시대 소도의 솟대라고도 전해지고 있다.  

개삼터-갈림길

▲ 개삼터 갈림길 2(← 개삼터공원 2.4km, 진악산 정상 1.7km·물굴봉 0.6km·도구통바위, 보석사 2.0km·영천암 1.2km ↑)

성곡리-갈림길

▲ 성곡리 갈림길(← 성곡리, ↓진악산 정상, 보석사 →)

음수골-임도-갈림길

▲ 음수골 임도 갈림길(← 보석사 1.9km, ↓도구통바위 0.3km, 음수골 임도 1.9km →)

11. 영천암 입구

영천암-입구

▲ 영천암 입구( ↙영산암 0.1km, ↓ 도구통바위 1.1km·음수골 임도 2.7km, 보석사 1.1km ↑)

정자

▲ 정자

샘물바위

▲ 샘물바위

산책로-갈림길

▲ 산책로 갈림길

12. 보석사

보석사

▲ 보석사(↓ 영천암 0.8km, 진행방향 ↑, 주차장 0.3km →) 경내를 경유해서 주차장으로 내려갑니다. 

은행나무

▲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는 높이가 34m이고, 가슴 높이 둘레가 10.72m이며, 가지의 길이는 동서쪽으로 24m, 남북쪽으로 20.7m에 달하는 1,000년 이상 된 나무이다. 줄기의 주축이 높이 올라간 점이며 뿌리 부분에 새로 돋아난 싹이 수없이 많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이 나무는 조구대사가 885년(신라 한강왕 11)에 보석사를 처음 세울 무렵 제자들과 함께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나라와 마을에 큰일이 생기면 소리를 내어 위험을 알려 주었다고 한다. 실제로 1945년 광복 때와 1950년 전란 때, 1992년 극심한 가뭄 때 소리를 내어 운 적이 있다. 마을 주민들은 지금까지도 이 나무가 마을을 지킨닥 믿고 있다. 금산 보석사의 은행나무는 오랜 세월 이곳 마을 주민들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나무로 민속적·생물학적 자료로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보석사-대웅전

▲ 보석사 대웅전

보석사

▲ 보석사 경내에서 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왼쪽으로

▲ 오른쪽 길은 보석사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내려오는 길입니다. 

보석사-일주문

▲ 보석사 일주문

13. 보석사주차장

보석사주차장

▲ 보석사주차장(충남 금산군 남이면 심천길 8-5)에서 블랙야크 명산100+에 선정된 진악산 산행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