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정보

신지도-상산-명사십리해수욕장

1. 신지도 상산

신지도(완도군 신지면)의 서쪽 송곡리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325m). 두 개의 섬이 연육되어 형성된 신지도의 서측 섬의 주봉을 이룬다 「조선지지자료」 에 송곡(松谷)에 소재한 것으로 수록되어 있다. 「조선지형도」에는 산의 남측 사면에 영주암이 묘사되어 있다. 산록의 북측 해안 말단부에 송곡 마을이 있다. 지명은 마을 주위에 소나무와 계곡이 많아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1596년(선조 29)에 진(鎭)을 설치하였고, 만호영이 있었다. 17세기에 김해 김씨가 처음으로 정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2. 신지명사십리(薪智鳴沙十里)해수욕장

신지도(완도군 신지면)의 서쪽 송곡리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325m). 두 개의 섬이 연육되어 형성된 신지도의 서측 섬의 주봉을 이룬다 「조선지지자료」 에 송곡(松谷)에 소재한 것으로 수록되어 있다. 「조선지형도」에는 산의 남측 사면에 영주암이 묘사되어 있다. 산록의 북측 해안 말단부에 송곡 마을이 있다. 지명은 마을 주위에 소나무와 계곡이 많아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1596년(선조 29)에 진(鎭)을 설치하였고, 만호영이 있었다. 17세기에 김해 김씨가 처음으로 정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8월 26일 화요일, 11:52 - 14:13

2. 산행 장소 : 조약도 삼문산 망봉 + 생일도 백운산 + 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3. 소재지 : 전남 완도군 신지면

4. 산행 코스 : 물하태 → 상산 등산로입구 → 무명봉 → 상산 정상석(블랙야크 섬&산 100 인증) → 상산 정상 → 청해사(구 영주암) 입구 → 청해사사거리 → 뾰족산(산동정) → 등대사거리 → 명사십리해수욕장 입구 → 명사십리해수욕장 → 명사십리해수욕장 관리사무소 → 명사십리해수욕장 제1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5.64km(2시간 21분)


물하태(11:52) → 1.41km → 상산 정상석(12:44)  → 1.95km → 뾰족산(13:21) → 2.28km → 명사십리해수욕장 제1주차장(14:13)

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신지도-상산-명사십리해수욕장-지도

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산행기 및 사진

1. 물하태

물하태

▲ 조약도(약산도) 삼문산과 생일도 백운산 산행을 마치고, 신지도 물하태(전남 완도군 신지면 송곡리 산 150-1)에 도착해 블랙야크 섬&산 100에 선정된 신지도 상산과 뾰족산 산행을 시작합니다. 물하태(↓ 신지대교휴게소 2.9km, 내동마을 10.7km ↑ )에는 명사갯길 안내도와 뒷골산장 표지석이 있습니다.

삼거리-갈림길

▲ 이곳 삼거리(↖ 진행방향, 뾰족산삼거리 1.6km →)에서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오른쪽 길은 명사갯길 코스이고 중앙으로 가면 길이 없습니다. 주의하세요.

2. 상산 등산로입구

상산-등산로입구

▲ 상산 등산로입구(상산 정상 1km ↑, 물하태 200m →)

한국통신-공중통신시설-안내문

▲ 한국통신 공중 통신 시설 안내문

3. 무명봉

무명봉

▲ 무명봉

4. 상산 정상석

신지도-상산-정상석

▲ 블랙야크 섬&산 100 인증지인 상산(해발 352m) 정상석이 설치된 곳인데요. 그러나 실제 정상은 KBS 완도 TV방송 중계소가 있는 곳으로 출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신지도-상산-상왕산

▲ 신지도 상산에서 바라본 완도 상왕산과 신지대교

신지도-상산-고금도

▲ 신지도 상산에서 바라본 고금도 봉황산과 장보고대교

상산정상-갈림길

▲ 상산 정상 갈림길(상산 ↑, 내려가는 길 →)에서 상산 정상을 다녀와서 오른쪽으로 내려갑니다.

5. 상산 정상

신지도-상산-정상

▲ KBS 완도 TV방송 중계소가 있는 실제 상산 정상입니다.

6. 청해사(구 영주암) 입구

▲ 청해사 입구(← 진행방향, ↓ 상산 정상 0.3km, 청해사 →)에서 왼쪽으로 내려갑니다.

청해사-구영주암

▲ 대한불교 조계종 청해사(구 영주암)

팔각정자

▲ 팔각정자

오른쪽으로

7. 청해사사거리(구 영주암사거리)

청해사사거리

▲ 청해사사거리(← 상산 2.6km, ↓ 영주암 0.8km, 임촌마을 1.1km ↑, 산동정 0.5km → )에서 뾰족산(산동정)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2019년도에 왔을 때는 이곳에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는데요. 지금은 가장 중요한 갈림길에 이정표가 없습니다.

▲ 숲길로 들어섭니다.

왼쪽길

▲ 섬자리숲길 이정표(← 산동정 0.2km, ↓ 영주암사거리 0.5km, 영주암사거리 5.3km ↑)

8. 뾰족산(산동정)

뾰족산

▲ 뾰족산(산동정)에 도착합니다.

뾰족산-산동정

▲ 뾰족산 정상석(산동정, 山東亭)

뾰족산-청산도

▲ 신지도 뾰족산에서 바라본 생일도 백운산과 청산도

9. 등대사거리

등대사거리

▲ 등대사거리에 도착합니다. 

등대사거리

▲ 등대사거리(← 서봉각등대, ↓ 신리 1.4km, 물하태 1.6km ↑, 뾰족산 정상 0.4km →)에서 신리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이정표

▲ 이정표(↓ 물하태 1,8km, 명사십리해수욕장 1.0km ↑)


신지도-명사십리해수욕장으로

bhc

10. 명사십리해수욕장 입구

명사십리해수욕장-입구

▲ 명사십리해수욕장 입구(바다치유길(데크길) ↑, 바다치유 길(해변 길) →)에서 데크길로 진행합니다.


▲ 해안누리길 신지명사길(명사갯길 1코스) 안내판

11. 명사십리해수욕장

명사십리해수욕장

▲ 명사십리해수욕장

몸짱해변

▲ 몸짱해변

12. 신지 명사십리해수욕장 관리사무소


▲ 신지 명사십리해수욕장 관리사무소를 지나 왼쪽으로 이동하면 제1주차장입니다. 

▲ 2025년 제6회 섬의 날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전라남도와 완도군이 공동 주관했는데요. 제6회 섬의 날을 기념하여 모래로 조각된 작품이 명사십리해수욕장 해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완도타워를 배경으로 한 젊은 연인의 조각작품이 아름답네요. 

▲ 2025 완도 방문의 해, 장보고

신지-명사십리해수욕장-관리사무소


▲ 명사십리해수욕장 관리사무소에서 명사십리해수욕장 제1주창으로 이동합니다.

13. 명사십리해수욕장 제1주차장

명사십리해수욕장-제1주차장

명사십리해수욕장-제1주차장

▲ 명사십리해수욕장 제1주차장(​전남 완도군 신지면 신리 796-3)에서 블랙야크 섬&산 100에 선정된 신지도 상산 산행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