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일도 : 서성항 ~ 학서암 ~ 백운산 정상 ~ 서성항

완도 생일도 백운산 정보

생일도-백운산
생일도는 해발 483m의 백운산과 금곡해수욕장을 낀 동백숲이 있으며, 남쪽에는 용출리 갯돌밭이 장관을 이루는 섬이다. 생일도란 지명은 처음에는 산밀도, 산윤도라 불리다가 주민들의 본성이 착하고 어질어 갓 태어난 아기와 같다하여 날 생(生)과 날 일(日)자를 붙여 생일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하나의 유래는 예로부터 험한 바다에서 조난 사고와 해적들 횡포가 심해 이름을 새로 짓고 새로 태어나라는 뜻에서 생일도라고 불렀다는 설이 있다. 백운산은 생일도 중앙에 우뚝 솟은 산으로 산이 높고 바다 경치가 수려하며 정상에 서면 맑은 날엔 남쪽 멀리 제주도까지 바라보일 만큼 조망이 뛰어나다

완도 생일도 백운산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8월 26일 화요일, 06:55 - 09:33

2. 산행 장소 : 조약도 삼문산 망봉 + 생일도 백운산 + 신지도 상산

3. 소재지 : 전남 완도군 생일면 금곡리 산74-6

4. 산행 코스 : 당목항 → 서성항 → 생일송 포토존 입구 → 생일송 → 생일면 전천후게이트볼장 → 금일중학교 생일분교 → 임도사거리 → 학서암 갈림길 → 학서암 → 무명봉 → 백운산(483m, 인증)  → 전망대 → 생일도 테마공원 → 임도삼거리 → 해안갯돌밭 갈림길 → 학서암 입구 → 임도사거리 → 생일둘레길 안내판 → 서성리 부녀회관 → 서성항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7.47km(2시간 38분)

서성항(06:55) → 3.75km → 백운산(08:29)  → 4.39km → 서성항(09:33)

완도 생일도 백운산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생일도-백운산-지도

완도 생일도 백운산 트레킹 및 사진

1. 조약도(약산도) 당목항

당목항

▲ 조약도 삼문산 망봉 산행을 마치고 당목항(전남 완도군 약산면 해동리)에 도착했는데요. 당목항 주변의 이마트24에서 라면으로 간단히 아침 요기를 때우고, 06:30에 출항하는 완농페리5호를 타고 생일도 서성항으로 떠납니다.  

2. 생일도 서성항

서성항

▲ 당목항에서 24분 정도 걸려 생일도 서성항에 06:54분에 도착합니다.  

생일도-생일케이크-조형물

▲ 서성항에 내리면 바로 왼쪽으로 생일도 생일 케이크 조형물이 있습니다.

서서항-대합실

▲ 생일 서성항 대합실인데요.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3. 생일송 포토존 입구

생일송-포토존-입구

▲ 생일송 포토존 입구(← 산제목 고개 3.6km, ↓ 서성항)로 올라갑니다. 여기서 생일송 포토존 입구로 올라가지 않고 정면 방향으로 직진해서 가도 됩니다.

서성항

▲ 뒤돌아본 생일도 서성항

4. 생일송 및 포토존

생일도-생일송

▲ 생일도 소나무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생일송(生日松)

전남 완도군 생일면 유서리 442에 위치한 수령 200년, 나무둘레 2.5m, 수고 15m의 보호수로 지정된 해송

생일송과-포토존

▲ 뒤돌아본 생일송과 생일송 포토존입니다. 생일송 포토존 안에 들어가 생일송을 배경으로 추억의 사진을 남겨보세요.

▲ 생일송을 구경하고 내려와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 수령 550년의 느티나무 보호수

5. 생일면 전천후게이트볼장


▲ 생일면 전천후게이트볼장(← 백운산등산로 3.20km, ↓ 서성항 0.50km, 금곡해수욕장 5.60km ↑)에서 왼쪽 백운산등산로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참고로 게이트볼장 전의 느티나무 보호수에서 왼쪽으로 올라가도 됩니다.

6. 금일중학교 생일분교

금일중학교-생일분교

▲ 오른쪽 길은 금일중학교 생일분교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갈림길

▲ 갈림길(↓ 서성항 0.8km, 산제목고개 2.8km)


▲ 산제목고개 갈림길(← 백운봉 2.2km, ↓ 서성항 1.2km, 산제목고개 2.4km ↑)

7. 임도사거리

임도사거리

▲ 임도사거리(↓ 서성선착장 0.52km, 학서암 0.9km·백운봉 1.8km →, 용출봉 4.5km ↑)에서 백운봉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참고로 내려올 때는 정면 방향으로 내려와서 왼쪽으로 내려갑니다.

위험-추락주의

생일도

8. 학서암 갈림길

학서암-갈림길

▲ 학서암 갈림길(↖ 학서암 0.3km, 백운봉 1.2km ↑)에서 학서암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참고로 오른쪽 길은 학서암을 경유하지 않고 백운봉으로 바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9. 학서암

생일도-학서암

▲ 학서암 

학서암은 1719년(숙종 45)에 천관사의 승려 화식(和湜) 스님이 창건하였다. 백운산은 장흥 천관산의 낙맥(落脈)으로 회룡의 기세가 준급하고 백운이 항상 떠나지 않고 있어 산기가 숙정한 까닭에 백운산이라 하였는데, 이렇게 창건한 학서암은 1734년(영조 10)에 처음으로 중창하였다. 이 중창은 화식선사의 상좌승인 각명이 주도하였으며, 그 후 1754년(영조 30)에 삼창하였고, 1800년(정조 24)에 신란 법사가 사중창을 한다. 한 차례의 중창을 더 거친 후 1899년(광무 3년)에 유사 이승태가 중심이 되어 다시 여서 번재 중창을 하였다. 1939년에는 다시 일곱 번쩨 중창을 하여, 근래에까지 여러 스님이 수행정진 하시면서 유지하여 오다가 2001년에는 현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백양사로 이관되면서 현재의 학서암을 재건하여 운영되고 있다. 학서암에는 대웅전, 석조여래좌상, 범종각 등이 있는데, 특히 석조여래좌상은 임경당 내에 모셔져 있으며 완도군 향토문화유산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백운봉-갈림길

▲ 학서암을 관람하고 나와서 임도를 따라 걷다가 백운봉 갈림길(↓ 학서암, 백운봉 1.0km↗)에서 오른쪽 산길로 올라갑니다.

생일도-둘레길

▲ 생일도둘레길이라 쓰여져 있는 이정목이 있는 주 등산로로 올라왔습니다. 

백운산-가는길

10. 무명봉

무명봉

▲ 무명봉에서 바라본 생일도 백운산 정상

쉼터

11. 백운산

생일도-백운산

▲ 백운산(↓ 서성항 2.0km·학서암 1.0km, 용출리·테마공원 ↑) 정상에 도착합니다.

백운산-정상석

▲ 블랙야크 섬&산 100 인증지인 백운산(483m) 정상석입니다. 블랙야크 인증을 하고 테마공원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생일도-백운산에서바라본-평일도

▲ 생일도 백운산 정상에서 바라본 거금도, 충도, 평일도(금일도), 초도

생일도-백운산에서바라본-청산도

▲ 생일도 백운산 정상에서 바라본 덕우도, 용출봉, 청산도

생일도-백운산에서바라본-신지도-조약도

▲ 생일도 백운산 정상에서 바라본 신지도, 조약도(약산도)

백운산에서-내려가는-길

▲ 생일도 백운산에서 내려가는 길

12. 전망대

전망대

▲ 전망대

전망대-백운산-조망

▲ 전망대에서 뒤돌아본 백운산 정상

갈림길

▲ 갈림길(← 용출봉 1.77km, ↓ 서성선착장· 학서암)에서 테마공원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용출봉-조망

13. 생일도 테마공원

생일도-테마공원

▲ 생일도 테마공원

14. 임도삼거리

임도삼거리

▲ 임도삼거리(← 학서암 1.0km, ↓ 백운봉 0.55km, 용출봉 1.37km →)에서 학서암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15. 해안갯돌밭 갈림길

해안-갯돌밭-갈림길

▲ 해안갯돌밭 갈림길(← 학서암 0.5km, ↓ 백운봉 0.65km, 해안갯돌밭 2.1km ↑)서 학서암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16. 학서암 입구

학서암-입구

▲ 학서암 입구(↓ 용출봉 3.1km·백운봉 1.2km, 학서암 ↑, 진행방향 ↗)에서 오른쪽 임도로 진행합니다.

정자-쉼터

▲ 정자쉼터

17. 임도사거리

임도사거리

▲ 임도사거리(← 학서암 0.9km·백운봉 1.8km, ↓ 용출봉 4.5km, 서성선착장 0.52km ↑, 진행방향 →)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18. 생일둘레길 안내판

생일둘레길-안내판

▲ 생일둘레길 안내판이 있는 곳으로 내려왔습니다. 여름이라 풀이 무성하게 자라 등산로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바닥에 데크가 깔려있으니 잘 보시고 주의해서 잘 내려오셔야 합니다.

갈림길

▲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 생일로601번길 29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갑니다.

마을길

생일로601번길-14-1

▲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 생일로601번길 14-1에서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생일로601번길-8

▲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 생일로601번길 8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19. 서성리 부녀회관

서성리-부녀회관

▲ 서성리 부녀회관

뒤돌아본-장면

서성항-가는-길

20. 서성항

서성항

▲ 서성항으로 돌아와서 블랙야크 섬&산 100에 선정된 생일도 백운산 산행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