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 명소 중의 하나인 강화 고려산

강화 고려산 정보

고려산

고려산(高麗山, Goryeosan)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강화읍·송해면·하점면·내가면이 경계하는 지점에 위치한 산이다(고도:436m). 강화 6대 산의 하나로 전한다. 강화도에서 마니산(469m)·혈구산(466m)·진강산(441m) 다음으로 높은 산이다. 1696년에 편찬된 『강도지』에 “홍릉(洪陵)과 국정(國淨), 적석(積石), 백련(白蓮) 등의 세 절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강화부 서쪽 15리에 있으며 강화부의 진산(鎭山)이다.”라고 되어 있다. 『강화부지』에도 강화부의 진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와 『조선지지자료』에서 지명이 확인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려산(高呂山)으로 한자 표기가 되어 있고 동쪽 산록 끝에 강화읍성이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고려산은 정상부에 커다란 연못이 있고 그곳에서 다섯 가지 색깔의 연꽃이 핀다는 유래로부터 ‘오련산(五蓮山)’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정동 쪽에 강화읍이 위치해 있다.

강화 고려산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4월 20일 일요일, 08:32 - 12:29

2. 산행 장소 : 고려산

3.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내가면, 송해면, 강화읍

4. 산행 코스 : 미꾸지고개 쉼터 주차장 → 전망대(고려사 갈림길) → 암봉(315m) → 낙조봉 → 낙조대 → 적석사 → 삼거리 →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 1 →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 2 → 내가면 갈림길 → 고려산 정상 이정목(인증) → 백련사 갈림길 → 오련지 → 백련사 → 백련사 주차장 → 고-1 벤치쉼터 → 청련사 → 국화2리마을회관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9.95km(3시간 57분)

미꾸지고개 쉼터 주차장(08:32) → 2.49km → 낙조봉(09:33)→ 3.05km → 고려산 정상목(10:45) → 1.61km → 백련사(11:28) → 1.57km → 청련사(12:08)→ 1.23km → 국화2리마을회관(12:29)

강화 고려산 산행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강화-고려산-지도

강화 고려산 산행기 및 사진

1. 미꾸지고개 쉼터 주차장

미꾸지고개-쉼터-주차장

▲ 미꾸지고개 쉼터(인천 강화군 내가면 오상리 13-1) 주차장에서 고려산 산행을 시작합니다. 고려산은 5월 15일까지 산불조심기간이지만 안내산악회에서 입산 허가를 단체로 받아서 산행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미꾸지고개 쉼터' 북쪽의 '산화고개' 버스정류장에도 등산로 입구가 있습니다. 전에 고려산 산행을 할 때는 '산화고개(미꾸지고개)'에서 올라갔습니다.

등산로-입구

▲ '강화서로' 횡단보도를 건너 등산로 입구로 진행합니다.

뒤돌아본-미꾸지고개-쉼터-주차장

▲ 뒤돌아본 미꾸지고개 쉼터 주차장과 등산로입구

갈림길

▲ 왼쪽의 미꾸지고개(산화고개) 방향의 등산로와 만나는 갈림길입니다.

벤치쉼터

▲ 위쪽의 벤치쉼터

고려-8

▲ 고려-8(강화군·강화소방서 119 소화기)

2. 전망대(고려사 갈림길)

고려사-갈림길

▲ 고려사 갈림길(↓ 미꾸지고개 1.9km, 고려산 정상 3.5km , 고려사 0.4km →)

전망대

▲ 고려사 갈림길에 있는 전망대

전망대-진달래꽃

▲ 전망대 주변의 진달래꽃

암봉-등산로

▲ 고려사 갈림길에서 암봉으로 올라가는 등산로

3. 암봉(315m)

암봉

▲ 암봉(315m, 고려-7)

암봉-혈구산

▲ 암봉에서 바라본 낙조봉, 낙조대, 혈구산

암봉-혈구산

▲ 암봉에서 바라본 혈구산, 퇴모산, 진강산

암봉-해명산

▲ 암봉에서 바라본 석모도 해명산과 고려저수지

낙조봉-조망

▲ 올라가야 할 낙조봉(쌍봉)

뒤돌아본-암봉

▲ 뒤돌아본 암봉

4. 낙조봉

낙조봉

▲ 고려산 낙조봉[342m, 고-9](← 고려산 정상, ↓ 미꾸지고개, 적석사)에서 오른쪽의 적석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왼쪽은 적석사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고려산 정상 방향으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뒤돌아본-낙조봉

▲ 뒤돌아본 낙조봉

고-10

▲ 고-10

삼성각-갈림길

▲ 삼성각 갈림길(← 삼성각, 낙조대 보타전 )

낙조대-데크로드

▲ 낙조대 보타전으로 가는 데크로드

5. 낙조대

낙조대-해명산

▲ 낙조대에서 바라본 진강산, 마니산, 해명산, 상봉산, 고려저수지

해수관세음보살

▲ 해수관세음보살을 모신 법당인 낙조대 보타전(寶陀殿)

적석사로-내려가는-계단

▲ 낙조대 보타전에서 적석사 방향으로 내려가는 돌계단

6. 적석사

적석사

▲ 적석사

적석사-대웅전

▲ 적석사 대웅전과 관음굴

적석사에서-나가는-길

▲ 적석사에서 나가는 길

7. 삼거리

삼거리

▲ 삼거리(← 낙조봉 0.5km·미꾸지고개 2.6km·망월리 3.1km, ↓ 적석사 0.2km, 고려산 2.4km)

고-8

▲ 고-8(정상까지 약 2.2km) 갈림길인데요. 저는 오른쪽 길을 걸었는데요. 양쪽 길 모두 한 지점에서 만나게 됩니다.

강화나들길-17코스-이정목

▲ 강화나들길 17코스 이정목

8.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 1

강화-고천리-고인돌군

▲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6호)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부족장의 무덤으로 지석묘라고도 부른다. 고려산(해발 436m)의 서쪽 능선을 따라 해발 350~250m 지점에 18기의 고인돌이 세 곳에 군집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 고인돌이 분포하는 평균 고도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있다. 대부분의 고인돌은 무너져 원형이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 그중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3군의 관리번호 69호 고인돌은 덮개돌의 크기가 가로 3.35m, 세로 2.47m, 두께 0.65m이다.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암석에는 고인돌을 만들기 위해 돌을 떼어낸 흔적이 남아있다.

고-6

▲ 고-6[고려-5](정상까지 약 1.6km)

하점-저수지-갈림길

▲ 하점 저수지 갈림길(← 하점 저수지 1.2km, ↓ 미꾸지 고개 4.3km, 고려산 정상 1.3km )

9.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 2

강화-고천리-고인돌군

▲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

10. 내가면 갈림길

내가면-갈림길

▲ 내가면 갈림길[고-5](↓ 적석사, 고려산, 내가면 →)

고-4

▲ 고-4(정상까지 약 500m)

진달래꽃

▲ 전망대 전의 활짝 핀 진달래꽃

전망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고려산 정상과 진달래꽃

11. 고려산 정상 이정목

전망대

▲ 앞의 전망대가 블랙야크 명산 100+ 인증지인 '고려산 정상 이정목'이 있는 전망대입니다.

고려산-정상-이정목

▲ 블랙야크 명산 100+ 인증지인 '고려산 정상 이정목(해발 376.5m)'인데요. 실제 고려산 정상(436m)은 군부대가 주둔하는 관계로 오를 수는 없고 이곳 전망대의 '고려산 정상 이정목'이 인증지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고려산은 월간 산 100대 명산에도 선정된 산입니다. 

전망대-데크길

▲ 고려산 정상 이정목이 있는 전망대 데크길

전망대-고려산-정상

▲ 전망대에서 바라본 고려산 정상

전망대-데크길

▲ 전망대 데크길

전망대

진달래-군락지

전망대

군사기지-출입통제-갈림길

▲ 군사기지 출입통제 갈림길(← 고인돌방향, ↓ 진달래군락지, 군사기지 출입통제 ↑, 등산로 없음(진입금지) →)

뒤돌아본-진달래-군락지

▲ 뒤돌아본 진달래군락지 방향

진달래꽃

뒤돌아본-진달래군락지

갈림길

▲ 갈림길(↓ 진달래군락지, 고인돌방향)

전망대

▲ 전망대

전망대-상봉산

▲ 전망대에서 바라본 고려저수지, 상봉산, 낙조봉, 상주산, 화개산

전망대-별립산

▲ 전망대에서 바라본 화개산, 별립산, 봉천산

전망대-진달래군락지

▲ 전망대에서 바라본 진달래군락지

12. 백련사 갈림길

백련사-갈림길

▲ 백련사 갈림길(← 백련사, ↓ 고려산 정상, 청련사 →)에서 왼쪽 백련사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오른쪽 길은 백련사를 경유하지 않고 청련사 방향으로 바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저도 백련사 방향은 오늘이 초행길입니다.

전망대

▲ 전망대

전망대-진달래군락지

▲ 전망대에서 바라본 진달래군락지

13. 오련지

오련지

▲ 길 왼쪽으로 보이는 곳이 고려산 오련지입니다.

오련지

▲ 고려산 오련지(高麗山 五蓮池)

고구려 장수왕 4년 천축조사가 이곳 고려산에서 가람터를 찾던 중 정상의 연못에 피어있는 5가지 색상의 연꽃을 따서 불심으로 날려 꽃이 떨어진 장소에 따라 백색 연꽃이 떨어진 곳에 백련사, 흑색 연꽃은 흑련사, 적색은 적석사, 황색은 황련사, 청색은 청련사라 칭했다. 그러나 청련사는 조사가 원하는 데에 떨어지질 못해 원통한 나머지 '원통암'이라는 절을 지어 현재 3개의 사찰과 암자가 수천 년의 역사를 지켜오고 있으며 이 연못을 오련지로 이 산을 오련산으로 그리고 5개의 사찰을 묶어 오련사라고 불리었다 하며 오련산은 고려가 강화로 천도하면서 고려산으로 개명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갈림길

▲ 갈림길(진행 방향, 명상길 시작 →)

갈림길

▲ 갈림길(↓ 고려산 정상, 고인돌방향·백련사 ↑, 백련사)에서 오른쪽 숲 속으로 진행합니다.

갈림길

▲ 갈림길에서(← 진행방향, 명상길 →) 왼쪽 백련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명상길-갈림길

▲ 명상길 갈림길(← 고려산 정상, ↓ 명상길 시작·고려산 정상, 진행 방향)

14. 백련사

백련사-계단

▲ 백련사 계단을 내려갑니다.

백련사-극락전

▲ 백련사 극락전

등산로-입구

▲ 백련사의 고려산 등산로입구(↓ 고려산 등산로, 청련사 방향, 고려산 정상 →)에서 정면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오른쪽 등산로입구에는 '흙먼지털이기'가 있고, 이 등산로입구를 통해 빠르게 고려산으로 올라갈 수 있는데요. 현재는 등산로 데크 계단 공사 중이라 출입이 금지된 상태입니다.

고려산성-갈림길

▲ 고려산성 갈림길(↓ 강화 백련사·백련사 승탑, 청련사 방향, 고려산성 150m →)

15. 백련사주차장

백련사주차장

▲ 백련사 주차장(↓ 백련사, 부근삼거리 ↑, 청련사)에서 도로 오른쪽 숲 속으로 올라갑니다. 이정표에는 청련사 방향은 표기되어 있지 않습니다.

삼거리-갈림길

▲ 삼거리 갈림길(↓ 백련사 0.6km, 청련사 0.9km, 고려산 정상 1.2km →)

16. 고-1 벤치쉼터

고-1 벤치쉼터

▲ 고-1 벤치쉼터(↓ 백련사, 청련사, 고려산 →)

야자매트

▲ 청련사로 올라가는 야자매트길

17. 청련사

청련사-큰법당

▲ 청련사 큰법당

이정표

▲ 이정표(← 국화리, ↙고려산, ↓ 청련사)

국화리-큰나무

▲ 수령 약 200년의 국화리 큰나무(소나무)

강화나들길-5코스-이정표

▲ 강화나들길 5코스 이정표(진행방향, 강화나들길 5코스 →)

국화2리마을회관으로

국화리마을-다목적체육관

▲ 국화리마을 다목적체험관

청련사-표지석

▲ 뒤돌아본 청련사 표지석과 청련사입구 버스정류장

18. 국화2리마을회관

국화2리마을회관

▲ 국화2리마을회관(인천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 186)에서 고려산 산행을 마칩니다. 참고로 국화2리마을회관 뒤쪽으로 국화리 공중화장실과 주차공간이 있습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