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8경 중의 하나인 고려산 적석사

강화 고려산 적석사 정보

적석사

적석사(積石寺)는 <강화부지>와 <전등사 본말사지> 등에 고구려 장수왕 4년(416년)에 천축조사가 고려산에서 오색 연꽃을 날려 그 꽃이 떨어진 곳마다 절을 창건하였는데, 적석사는 그중 적(赤) 색 연꽃이 떨어진 곳으로 절을 지어 적련사(赤蓮寺)라 하였으며, 후에 적석사로 바뀌었다. <강도지>에 의하면 "사찰은 고려산 서쪽 낙조봉 아래 있으니 적련사라 한다. 사찰에 있는 우물을 맑고 깨끗하며 차고 달다. 나라에 재난이 다가오면 물이 마르거나 탁해져 마실 수 없다. "또 서쪽 낙조봉에 오르면 일몰의 경관이 빼어나 적석사 낙조가 강도팔경의 하나로 선입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예로부터 신비한 우물과 더불어 명승고적으로 유명한 곳이다. 1998년 8월의 수해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복원에 힘써 2005년에는 대웅전을 새롭게 중건 복원하였다.

강화 고려산 적석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4월 20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고려산 + 적석사 + 백련사 + 청련사

3. 소재지 : 고려산(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내가면, 송해면, 강화읍) + 인천 강화군 내가면 고천리 210-3(적석사)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고려산로61번길 270(백련사) + 인천강화군강화읍고비고개로188번길112(청련사)

4. 사찰 관람 코스 : 삼성각 갈림길 → 낙조대 보타전 → 범종루 → 향적전(종무소) → 대웅전·관음굴 → 요사채 → 불유각(우물) → 장독대

강화 고려산 적석사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강화 고려산 적석사 다음지도

적석사-지도

2. 대중교통편 : 강화 고려산 적석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적석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강화 고려산 적석사 여행기 및 사진

1. 삼성각 갈림길

낙조대-보타전-데크길

▲ 오늘은 고려산 산행 중에 낙조봉을 거쳐 적석사를 들렸는데요. 삼성각 갈림길(← 삼성각, 낙조대 보타전 )에서 오른쪽 방향이 적석사 낙조대 보타전으로 가는 데크길입니다.

데크길

▲ 낙조대 보타전 데크로드

2. 낙조대 보타전

해수관세음보살상

▲ 낙조대 보타전의 해수관세음보살상

낙조대-보타전-낙조봉

▲ 낙조대 보타전과 고려산 낙조봉

낙조대-암봉

▲ 강화의 숨겨진 사진명소인 낙조대에서 바라본 고려산 암봉

낙조대-일몰-안내판

▲ 국내 3대 낙조명소 적석사 낙조대의 일몰

한반도 정서향으로 앉은 적석사는 낙조의 풍경이 가장 화려한 곳이다. 한겨울일수록 온통 붉은 빛으로 물드는 일몰의 경관이 더욱 수려하다. 강화 8경 중 하나인 적석사는 붉은 연꽃잎이 떨어져 적련사라 불렸다고 전해진다. 카메라의 색온도 설정을 조절해 붉은 빛을 더 하여 찍어보자. 붉은 연꽃 보다 더 붉은 일몰 사진의 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낙조대-마니산

▲ 낙조대에서 바라본 마니산, 해명산 그리고 고려저수지

적석사-대웅전으로-내려가는-길

▲ 낙조대 보타전에서 적석사 대웅전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삼성각-갈림길

▲ 적석사의 이정표인데요. 왼쪽이 삼성각으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삼성각은 직접 올라가 보진 않았습니다.

적석사

▲ 적석사

사찰출입금지-안내판

▲ 수행정진 중으로 오후 5시부터 새벽 5시까지는 사찰 출입을 금지한다고 하네요.

불전함

▲ 불전함

3. 범종루

범종루

▲ 2층의 누각으로 되어 있는 범종루(梵鐘樓)

적석사주차장

▲ 범종루 근처에서 내려다본 적석사 주차장인데요. 주차장 아래쪽으로 적석사 사적비가 있다고 합니다.

4. 향적전(종무소)

향적전

▲ 적석사 향적전(香績殿, 종무소)

느티나무

▲ 적석사 마당의 느티나무와 작은 불상들

5. 대웅전, 관음굴

대웅전-관음굴

▲ 적석사 대웅전(大雄殿)과 관음굴(觀音窟)

관음굴

▲ 관음굴(觀音窟)

6. 요사채

요사채

▲ 적석사 요사채

범종루-향적전

▲ 뒤돌아본 적석사 범종루와 향적전(香績殿)

7. 불유각(우물)

불유각

▲ 적석사 우물에 누각을 세운 불유각(佛乳閣)

요사채

▲ 적석사 요사채

8. 장독대

장독대

▲ 적석사 장독대 오른쪽 계단을 통해 올라가면 고려산 산행을 이어갈 수 있는데요. 오늘은 천축조사가 고려산에서 오색 연꽃을 날려 그중 적(赤) 색 연꽃이 떨어진 곳에 절을 지어 적련사(赤蓮寺)라 이름 지었던 적석사를 소개해드렸습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