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흥사(法興寺) 정보
법흥사는 소나무숲이 아름다운 사찰이다. 천오백년 전 통일신라 시기에 자장스님이 중국 당나라에서 수행 중에 모시고 온 세존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오대 적멸보궁 중의 하나이다. 사자산문 흥령선원으로 그 시기의 불교가 이 땅에 깊이 뿌리내리게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 아홉개의 중심수행 도량인 구산선문 중의 하나였다. 몇차례의 소실과 중창을 거듭하였고, 1991년 현재의 적멸보궁을 탄허스님의 제자인 삼보화상이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집으로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5대 적멸보궁 : 양산 통도사 적멸보궁, 오대산 중대의 적멸보궁, 설악산 봉정암의 적멸보궁, 영월 법흥사의 적멸보궁, 태백산 정암사의 적멸보궁
법흥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6월 12일 목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법흥사+구봉대산(구봉산)+요선정
3.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무릉도원면무릉법흥로1352
4. 사찰 관람 코스 : 법흥사 주차장 → 원음루 → 종무소·흥녕원·보리장 → 유심당·삼소당 → 운림당→ 약사전 → 적멸보궁·영월 법흥사 석분·부도→ 산신각 → 감로각 → 징효대사탑비 → 극락전·조사전 → 범종각 → 극락교 → 법흥사 일주문
법흥사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법흥사 다음지도
2. 대중교통편 : 법흥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법흥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법흥사 여행기 및 사진
1. 법흥사 주차장
▲ 법흥사 주차장에서 내려 법흥사 경내 및 적멸보궁을 관람합니다.
2. 법흥사 원음루(圓音樓)
▲ 법흥사 원음루(圓音樓)와 금강문(金剛門)
2층누각으로조성된이곳은부처님의법을전하는사물인법고(가죽걸친짐승),운판(날짐승과허공을떠도는영혼),목어(물속에사는생명)가있다.예불시간에이소리들을법계에울리는뜻은모든중생들이고통을여의고깨달음의진리와함께하기를기원한다는의미이다.
▲ 오른쪽으로 멀리 보이는 건물은 법흥사 주차장의 화장실입니다.
3. 법흥사의 종무소, 흥녕원(興寧院), 보리장(불교용품점)
▲ 법흥사 종무소
▲ 법흥사 보리장(불교용품점)
▲ 법흥사 흥녕원(興寧院)은 현재 지붕 공사 중이네요.
▲ 계단을 따라 올라갑니다.
4. 법흥사 유심당(唯心堂), 삼소당(三笑堂)
▲ 법흥사 유심당(唯心堂)
▲ 법흥사 삼소당(三笑堂)
▲ 적멸보궁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왼쪽 길로 올라갔다 오른쪽 길로 내려옵니다.
5. 법흥사 운림당
▲ 운림당
▲ 약사전으로 올라갑니다.
6. 법흥사 약사전 (藥師殿)
▲ 법흥사 약사전 (藥師殿)
약사여래불은중생의병을치료하고수명을연장하며재화를소멸하고의복,음식등을만족하게하는등의12대서원을세운부처님으로서보신부처님이라고한다.이곳은보궁을뒤로하고있고앞으로는구봉대산과금강송들이바라보이는좋은기운이모이는곳에자리하고있다.24시간열린법당으로서언제나기도할수있는곳으로개방하고있다.
▲ 약사전에서 내려다본 구봉대산
▲ 오른쪽 전각은 약사전 위쪽에 있는 산신각인데, 내려올 때 둘러볼 예정입니다.
▲ 법흥사 적멸보궁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7.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寂滅寶宮)
▲ 법흥사 적멸보궁 뒤편의 영월 법흥사 석분(寧越 法興寺 石憤,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09호)
이곳은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도를 닦는 곳이라 전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돌방의 겉모습은 흙을 몽긋하게 덮어 무덤처럼 보인다. 돌방의 입구는 네모꼴로 만들었으며, 통로를 통해 돌방 안으로 들어가 보면, 바닥은 평평하고 벽면은 둥그스름하다. 돌방벽은 6단 수직으로 쌓았고, 7단부터 큰돌로 모 줄임하여 10단까지 쌓아 한 자으이 돌로 돌방안에는 지금의 돌방 뒤편에 있는 돌널이 들어있었다고 한다. 돌널의 용도는 고승의 유골을 모셨던 것으로 보이며, 돌방은 스님이 도를 닦던 곳으로 보인다. 지금은 화강암으로 단을 쌓아 들어갈 수 없다.
▲ 영월 법흥사 부도(寧越 法興寺 浮屠,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73호)
부도란 스님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일종의 묘탑이다. 이 부도는 징효대사 부도와 같은 형식이나, 누구의 부도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명 사리탑이라고 하는 이 부도는 넓고 네모난 돌을 바닥에 깔고, 1단의 층을 만들어 팔각의 아래 받침돌과 겹꽃잎 연꽃 무늬가 새겨진 받침돌을 놓았다. 아래 받침돌 각면에는 안상탑 면석에 팔면의 오금곡선으로 안쪽을 파낸 모양이 조각되어 있고, 그 안에는 큼직한 꽃들이 돋을새김 되어있다. 가운데 받침돌은 팔각으로 각 면에는 양쪽에 모서리 기둥이 새겨져 있다. 위 받침돌 옆면을 둥근 모양으로 두 겹의 연꽃을 새겨 놓았다. 몸돌은 위, 아래가 양간 좁아진 배흘림이 있는 팔각으로 앞, 뒤 양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들이 새겨져 있고, 나머지 여섯 면에는 신장상이 돋을새김 하였다. 지붕돌 아래면에는 3단의 괴임이 있으며, 지붕면은 들려있어 귀꽃탑 지붕돌의 추녀마루 끝에 꽃무늬를 새긴 장식등과 잘 어울린다. 지붕돌 위에는 복발(탑의 목발위에 주발길이 엎어높은 장식)을 얹어 놓았으며, 보개(탑상륜의 보륜과 수면사이의 치릉모양의 장식)는 지붕돌과 같고, 그위에 보주(탑의 상륜부에 놓인 둥근모양의 구슬)가 있다.

▲ 블랙야크 역사문화대장정 인증지인 법흥사 적멸보궁(寂滅寶宮)과 기도접수처(右)
온갖 번뇌망상이 적멸한 보배로운 궁 이란 뜻이며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전각을 말한다. 진신사리는곧부처와동일체로,부처님열반후불상이조성될때까지가장진지하고경건한예배대상으로부처님께서항상그곳에서적멸의법을법계에설하고있음을상징하는곳이다.
▲ 법흥사 적멸보궁 법당 안
▲ 법흥사 적멸보궁에서 왼쪽으로 내려가는 계단길은 공사 중이네요. 다시 왔던 길로 내려갑니다.
8. 법흥사 산신각(山神閣)
▲ 법흥사 산신각(山神閣)
▲ 감로각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갑니다.
9. 법흥사 감로각(甘露閣)
▲ 감로각(甘露閣)의 오른쪽 보궁길은 공사 중으로 막혀 있습니다.
▲ 관세음보살상
▲ 왼쪽으로 포화대상, 중앙으로 멀리 범종각, 오른쪽으로 극락전이 위치해 있습니다.
▲ 흥녕사지징효대사탑비, 징효국사 부도와 사자상의 약수터, 관세음보살상
10. 법흥사 조사전(祖師殿), 극락전(極樂殿)
▲ 조사전(祖師殿)과 극락전(極樂殿)
조사전은 조사스님, 사찰의 창건주 그리고 고승대덕의 영정을 모시는 전각이다. 사찰에 따라 국사전, 국사당, 영각, 조사각 등으로 부른다. 특히 선종사찰에서는 한 종파를 개창한 조사스님과 그 사법(嗣法) 제자들은 그 사찰의 상징적 존재이기에 영정을 봉안한다. 교종은 경전에 의거한 문헌적 해석을 중시하지만, 선종은 직관을 통한 실천수행을 강조하기에 스승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징효대사의스승철감국사는전남화순쌍봉사에서입적하여그곳에승탑을모셨으며,그의제자징효대사는사자산문을크게중흥시킨후스승철감국사를사자산문의개창조로모시어세웠다.법흥사의조사전내부에는자장율사와징효대사를모셔놓았다.
극락의주불인아미타불은자기의이상을실현한극락정토에서늘중생을위하여설법하고있는데,이를상징하는극락전을아미타전또는무량수전이라고도한다.이곳은아미타불을중심으로관세음보살과지장보살이협시보살로서봉안되어있다.관세음보살은지혜로중생의음성을관하여그들을번뇌의고통에서벗어나게하며,지장보살은지혜의광명으로모든중생을비추어끝없는힘을얻게하는보살이다.
11. 법흥사 범종각(梵鐘閣)
▲ 법흥사 범종각(梵鐘閣)과 조사전
대종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아침에 28번, 저녁에 33번을 치는데 우리나라 종은 특히 소리가 아름답고 여운이 길다. 종을 매단 부분을 용뉴라 하는데 용의 모양을 하고 있고, 종을 치는 나무는 당목이라 하여 물고기(고래)모양을 하고 있다. 옛날에 바닷가에 용들이 살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포뢰용이라는 용이 잘 울고 고래를 무서워했다. 그 울음소리가 마치 종소리와 같았다고 해서 종 위에 용모양의 용뉴를 만들게 되었으며 , 고래를 무서워해 고래모양으로 나무를 깍아 종을 치게 되었다.
▲ 조사전 왼쪽으로 올라가면 삼성각(三聖閣)이 있는데 올라가 보진 않았습니다.
12. 법흥사 극락교
▲ 구봉산(구봉대산)으로 올라가는 입구인 극락교입니다.
13. 법흥사 일주문(一柱門)
▲ 오늘은 법흥사 경내 및 적멸보궁을 관람하고 극락교에서 구봉대산 산행을 시작해 법흥사 일주문 방향으로 내려왔는데요. 5대 적멸보궁 중의 하나인 법흥사를 찾으신 모든 분들이 좋은 추억을 쌓으시길 기원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