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현성산과 금원산 연계산행

현성산, 금원산 정보

현성산 정상
현성산(玄城山, 960m)은 검은색 화강암반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검고 성스럽다는 의미를 지닌 현성산은 '거무시'라고도 한다. 지재미골에서 바라보는 정상은 아름답게 핀 연꽃송이에 비한다. 등산로 중에서 미폭으로 올라가는 암릉 구간은 아슬아슬함과 수려한 조망 경관으로 매력적이다. 정상에서 능선 숲길로 서문가 바위를 지나 금원산으로 갈 수 있고 도중 갈림길에서 필봉을 지나 성령산, 수승대로로 갈 수 있다. 

금원산 정상석
 
금원산(金猿山, Geumwonsan)은 경남 함양군의 안의면 상원리 일대에 걸쳐있는 산이다(고도:1,353m).『여지도서』(안음)와『화림지』에 “월봉에서 동쪽으로 달린 것이 이 산이다. 바로 감음(感陰) 고현(古縣)의 주산이다. 현 서북쪽 40리에 있다.”라고 기재하였다. 『함양군지』에도 “안의면 서북쪽 40리에 있다. 안의와 거창의 경계이다. 높이는 1,352m이다.”라고 적고 있다. 『영남지도』, 『조선지도』, 『광여도』, 『1872년지방지도』등의 여러 안의 군현지도에서 금원산이 표기되었다. 『대동여지도』에서도 금원산과 북쪽의 원학동(猿鶴洞) 이 기재되었다. 원학동은『정감록』에 소개된 피난 보신의 땅으로 알려진 곳으로, 『피장처』라는 문헌에는, “전라도 무주 덕유산 남쪽에 원학동(猿鶴洞)이 있는데 숨어 살만 한 곳이다.”라고 하였다. 금원산(金猿山)이라는 이름은 금빛 원숭이를 이 산에 있는 원암(猿岩)이라는 바위에 가두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현성산과 금원산 연계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7월 27일 일요일, 10:19 - 16:35

2. 산행 장소 :현성산 + 금원산

3. 소재지 : 경남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현성산)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금원산)

4. 산행 코스 :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 → 미폭 → 현성산 등사로 입구 → 전망대 → 달팽이바위 → 현성산 → 서문가바위봉 → 976m봉 →  996m봉 → 1144m봉 → 금원산 → 동봉 → 임도 갈림길 → 임도 → 유안청 제1폭포 → 유안청 제2폭포 → 자운폭포 금원산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 → 선녀담 →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1.50km(6시간 16분)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10:19) → 1.79km → 현성산(11:37)  → 4.93km → 금원산(14:59) → 4.78km →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16:35)  
 

현성산과 금원산 연계산행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현성산과 금원산 지도

   

현성산과 금원산 연계 산행기 및 사진

1. 금원산자연휴암림주차장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경남 거창군 위천면 금원산길 386)에서 블랙야크 명산 100+에 선정된 현성산과 금원산 연계산행을 시작합니다.  

금원교 방향으로

▲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에서 금원교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금원산자연휴양림-매표소

▲ 금원산자연휴양림 매표소 

2. 미폭(米瀑)

미폭

▲ 미폭 

"쌀이는 폭포", "동암폭포"라고도 부른다. 지재매 골짜기 어귀 북쪽 산기슭에서 너럭바위 위를 비스듬히 흘러내리는 폭포다. 폭포수가 흐르는 모양아 쌀이 흘러내리는 듯하여 쌀이는 폭포라고도 하고, 옛날 폭포 위쪽에 동암사(東庵寺)라는 사찰이 있어서 쌀 씻는 뜨물이 항시 바위를 흐르고 흘러 "쌀이는 폭포" 또는 "동암폭포"라고 하였다. 사찰이 없어지고 나서 그자리에 서당이 생겼으므로 "동암자 서당터"라고 하는데 지금은 주춧돌만이 남아있다.  

3. 현성산 등산로 입구

현성산-등산로-입구

▲ 현성산 등산로 입구(← 현성산 1.5km)입니다.  

미폭-갈림길

▲ 왼쪽 길은 미폭 위쪽으로 내려갈 수 있는 갈림길입니다.  

현성산-1

▲ 현성산 1(해발 595m) 

현성산-2

▲ 현성산 2(해발 710m) 

나무계단

▲ 암릉 위에 설치된 나무 계단

나무계단-뒤돌아본-장면

▲ 나무 계단 위에서 뒤돌아본 장면

4. 전망대

 전망대

▲ 전망대

전망대-기백산-금원산

▲ 전망대에서 바라본 기백산과 금원산 

전망대-현성산

▲ 전망대에서 현성산 정상(오른쪽)도 조망이 됩니다.

5. 팽이바위

 달팽이바위

▲ 달팽이 바위

칼바위

현성산-3

▲ 현성산 3(해발 820m)

계단

6. 현성산

현성산

▲ 블랙야크 명산 100+ 인증위치인 현성산(해발 960m) 정상석입니다.

현성산-기백산-금원산

▲ 현성산에서 바라본 기백산, 동봉, 금원산

현성산-남덕유산-덕유산

▲ 현성산에서 바라본 남덕유산, 삿갓봉, 무룡산, 서문가바위봉, 덕유산

현성산-수도산-가야산

▲ 현성산에서 바라본  삼봉산, 대덕산, 호음산, 삼방산, 수도산, 가야산

나무계단

▲ 서문가바위봉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계단 아래에 이정표가 있습니다.

나무계단-아래

▲ 계단 아래(↓ 금원산 4.9km, 미폭 1.7km ↑, 문바위 1.5km →)에서 뒤돌아본 현성산 정상 방향

암릉길

서문가바위

서문가바위

서문가바위봉-주변바위

▲ 서문가바위봉을 뒤로 돌아 둘러본 주변의 바위

7. 서문가바위봉

서문가바위봉

▲ 서문가바위봉 

기암괴석

등산로

바위-틈

▲ 바위 틈 사이로 조심조심 건너갑니다.

날카로운-바위

암릉


8. 976m봉

976m봉

▲ 976m봉(↓ 현성산 1.0km, 금원산 3.9km , 수승대 6.5km →)

갈림길-1

▲ 갈림길 1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갑니다. 

갈림길-2

▲ 갈림길 2

9. 996m봉

996m봉

996m봉

갈림길3-폐쇄

▲ 갈림길 3(폐쇄)(↓ 현성산 2.3km, 금원산 2.6km)

갈림길4-폐쇄

▲ 갈람길 4(폐쇄)(↓ 현성산 2.8km, 금원산 2.1km ↑)

금원산-1-5-갈림길

▲ 금원산 1-5 갈림길(← 금원산 휴양림(1코스) 3.4km, ↓ 서문가바위·현성산, 금원산 정상(1코스) 1.6km)

10. 1144m봉

1144m봉

 1144m봉

금원산-1-6

▲ 금원산 1-6

11. 금원산

금원산-이정표

▲ 금원산(← 기백산·2, 3, 4코스, ↓지재미골 6.0km·1코스 7.4km) 

금원산 정상석

▲ 금원산(정상해발 1353m) 정상

헬기장-금원산동봉

▲ 헬기장과 금원산 동봉 

12. 금원산 동봉

금원산-동봉

금원산 동봉(↓ 금원산 정상 0.25km, 유인청 폭포(2코스) 2.1km, 기백산 5.0km·유인청 폭포(3코스) 3.2km →)

금원산-2-5

▲ 금원산 2-5(↓ 금원산 0.5km, 유안청 폭포 2.5km) 

계단위-염소

13. 임도 갈림길

임도-갈림길

  임도 갈림길(← 임도 1.0km, ↓ 금원산 0.8km) 

14. 임도

임도

▲ 임도(← 지재미, ↓ 금원산 등산로 1.8km, 관리사무소 2.3km·유안청폭포 07km ↑, 생태수목원)

금원산-2-1

▲ 금원산 2-1(↓ 금원산2.5km, 유안청 폭포 0.5km)

갈림길

▲ 갈림길(← 관리사무소, ↓ 금원산 2코스)

유안청폭포-삼거리

▲ 유안청 폭포 삼거리(← 관리사무소, ↓ 금원산 2코스, 유안청 폭포

15. 유안청 제1폭포

유안청제1폭포

▲ 유안청 제1폭포 

유안청 폭포는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유안청 계곡에 위치한 두 개의 폭포이며, 금원산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는 계곡이다. 옛날에 가섭사가 인근에 자리잡고 있어 가섭동폭으로 불리다가 조선시대 유생들이 공부하였던 공부방인 유안청이 인근에 위치하여 '유안청 폭포'로 불리게 되었다. 유안청 제1폭포는 계곡 물이 수직에 가까운 경사의 화강암 절벽을 미끄러져 낙하하는 폭포로 높이는 약 20m 규모이다. 화강암 기반암이 지표로 노출되면서 형성된 수평의 절리들이 잘 관찰된다. 

유안청제2폭포-이정표

▲ 유안청 제2폭포 이정표(↓ 유안청 제1폭포·금원산2코스, 숲속의집 ↑, 관리사무소)

16. 유안청 제2폭포

유안청제2폭포-안내판

▲ 유안청 제2폭포 안내판 및 다리 

유안청제2폭포

▲ 유안청 제2폭포

유안청 제2폭포는 길이 약 50m, 폭 10m로 미끄럼틀과 같이 비스듬한 경사를 갖는 슬라이드형 폭포이다. 폭포는 화강암 기반암을 따라 흐르고 있으며 기반암에는 박리에 의한 기반암의 풍화를 관찰할 수 있다. 

 갈림길

▲ 갈림길(↓ 2,3코스, 주차장 2.4km ↑)

갈림길

17. 자운폭포

자운폭포

▲ 자운폭포

산림문화휴양관-갈림길

▲ 산림문화휴양관 갈림길(← 진행방향, 산림문화휴양관 →)

데크-갈림길

▲ 데크길이든지 포장된 길이든지 따라 내려가면 아래에서 만나게 됩니다.

18. 금원산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

 금원산자연휴양림-관리사무소

▲ 금원산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左)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갑니다.  

19. 선녀담

선녀담

▲ 선녀담인데, 선녀담 안내판 전에 있습니다.  

아득한 옛날 천상의 세 선녀가 금원산에 목욕을 하러 내려왔다. 물은 맑고 고왔다. 주변의 경치도 아름다웠다. 차고 시원스런 물속에 잠기고 보니 오랜만에 해방된 기분이었다. 바삐 천상으로 돌아갈 시간마저 잊고 목욕을 즐겼다. 마침내 세 선녀는 하늘로 올라갈 시간을 놓친 것이다. 할 수 없이 선녀담 바위 속으로 숨어들었다. 그리고 영원히 바위가 되어버렸다. 선녀담의 세 선녀바위는 나무꾼과 선녀와는 또 다른 이야기로 전해지며, 여자가 이 소에 목욕을 하고 소원을 빌면 아기를 낳게 된다는 전설이 전해져 신비감을 더한다. 

선녀담-안내판

▲ 선녀담 안내판입니다. 앞쪽에 공중화장실이 있습니다. 

20.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

▲ 금원산자연휴양림주차장으로 돌아와서 블랙야크 명산 100+에 선정된 현성산과 금원산 연계산행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