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정보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전체규모 약 5,179ha(15백만평)로 아시아에서는 최대, 전 세계에서도 남아공 국립한탄식물원(6,229ha) 다음으로 큰 규모의 수목원인데요. 국내·외 고산지역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희귀·특산식물을 수집보존하고 있으며, 각각 희귀식물 326종(57.1%), 특산 식물 162종(45.0%)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호랑이 숲은 축구장 6개 크기(총 3.8ha)와 맞먹는 규모로 국내에서 가장 넓은 사육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여행 일시 : 2025년 8월 16일 토요일, 14:07 - 16:20
2. 여행 장소 : 봉화 예던길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3.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명호면(봉화 예던길),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485(국립백두대간수목원)
4. 여행 코스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대형주차장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 블랙야크 2025 한국수목원 챌린지 인증장소 → 트램출발역 → (트램으로 이동) → 호랑이역 → 호랑이숲 → 고산습원 → 호랑이숲 입구 → 돌틈정원 → 약용식물원 → 장미공원 → 나비정원 → 무지개정원 → 수련정원 → 진입광장 → 트램출발역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대형주차장
5. 여행 거리 및 소요시간 : 6.52km(2시간 13분) *식사시간 포함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대형주차장(14:07) → 3.49km → 호랑이역(14:35) → 2.03km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대형주차장(16:20)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여행 후기 및 사진
1.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대형주차장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대형주차장(경북 봉화군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에 내려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관람을 시작합니다. 오늘은 트램을 타고 트램종착역인 호랑이역까지 이동 후, 호랑이숲을 관람하고 내려올 때는 수목원을 둘러보면서 내려올 예정입니다.
2.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안으로 들어갑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입장료는 어른 5,000원, 단체(20인 이상)는 4,000원을 받는데요. 오늘은 광복 80주년 기념(2025년 8월 15일(금) ~ 8월 17일(일))으로 무료입장을 합니다.
3. 블랙야크 2025 한국수목원 챌린지 인증장소
▲ 블랙야크 2025 한국수목원 챌린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인증장소인 '방문자센터 입장 후 우측 처마하단'입니다
▲ 춘양목1교의 백만낙원
▲ 앞으로 보이는 건물이 트램출발역입니다.
4. 트램출발역
▲ 트램출발역에서 매표를 하고 트램대기장 안으로 들어가서 차례를 기다립니다. 트램승차권은 편도 2,000원, 왕복은 4,000원인데요, 트램출발역과 호랑이역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5. 호랑이역
▲ 트램출발역에서 14:17에 출발하는 트램을 타고 호랑이역에 약 18분 후에 도착을 합니다. 이곳 호랑이역에서 호랑이숲까지의 거리는 190m 정도 됩니다.
6. 호랑이숲
▲ 호랑이숲(TIGER FOREST)
우리 땅에서 사라진 지 100년 된 멸종위기 종 백두산호랑이의 종 보전과 백두산호랑이의 야생성을 지키기 위해 자연서식지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종 보전과 체계적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데크전망대 위쪽에서 내려다 본 호랑이숲의 전경입니다.
▲ 호랑이숲에는 한청, 우리, 한, 도, 태범, 무궁 등 총 6마리의 호랑이가 살고 있는데,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호랑이도 더위를 타는 지 한마리만 방사장에 나와 있었는데요. 방사장에 나온 호랑이마저 폭염에 지쳤는지 앞다리를 기둥 위에 올리고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 10분 정도 호랑이 숲을 관람 후 걸어서 내려갑니다. 참고로 호랑이숲을 관람 후 호랑이역으로 되돌아가 트램을 타고 트램출발역으로 바로 가셔도 됩니다.
▲ 호랑이숲
7. 고산습원
▲ 고산습원과 고산습원카페입니다. 오른쪽이 고산습원입니다.
8. 호랑이숲 입구
▲ 호랑이숲 입구(↓ 호랑이숲 700m, 진행방향 ↑)입니다. 왼쪽으로 보이는 숲은 수변생태원입니다.
9. 돌틈정원
▲ 돌틈정원(
← 방문자센터 1.30km, 호랑이숲 770m·야생화언덕 960m →)
10. 약용식물원
▲ 약용식물원 방향으로 들어갑니다.
11. 장미공원
12. 나비정원
▲ 나비정원
13. 무지개정원
▲ 무지개정원 입구
▲ 무지개정원
14. 수련정원
▲ 수련정원
▲ 수련 '핀 와리' 등
▲ 빅토리아 수련
15. 진입광장
▲ 진입광장입니다. 왼쪽은 덩굴정원입니다.

▲ 진입광장에서 뒤돌아본 장면
16. 트램출발역
▲ 트램출발역
▲ 왼쪽으로 보이는 가든은 휴가든이고 오른쪽은 겨울정원입니다. 앞의 사거리에서 왼쪽의 다리를 건너면 어린이정원을 둘러보실 수 있습니다.
▲ 어린이정원 방향
▲ 춘양목1교
17.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18.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대형주차장
▲ 중간에 그린 식당·카페숍에서 식사를 하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주차장으로 돌아와서 블랙야크 2025 한국수목원 챌린지 인증 및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관람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