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가지 보물을 간직한 섬, 보령 삽시도

보령 삽시도(揷矢島 Sapsido) 정보


보령 삽시도
충남 보령시의 오천면 삽시도리에 속하는 섬이다. 원산도의 남서쪽에 위치한다. 충청남도에서 3번째로 큰 섬이다. 지명은 섬의 생김새가 화살을 꽂은 활과 같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나『해동지도』 (홍주), 『광여도』, 『여지도』, 『1872년지방지도』(홍주) 등 조선시대의 지도에서는‘삽시도(揷時島)’로 표기하여 현재와 지명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조선지형도』에서부터 현재의 지명으로 표기되는 것을 보아, 일제강점기에 지명이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삽시도에는 마을 사람들이 아끼고 자랑하는 3개의 보물이 있는데요. 황금곰솔과 물망터, 면삽지입니다.

보령 삽시도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025년 5월 27일 화요일, 08:08 - 13:47

2. 트레킹 장소 : 보령 삽시도와 고대도

3. 소재지 : 충남 보령군 오천면 삽시도리(삽시도, 고대도)

4. 트레킹 코스 : 밤섬선착장 → 밤섬해수욕장 삼거리 → 수루미해수욕장 → 사거리 이정표 → 황금곰솔(인증)  → 물망터 → 면삽지 → 진너머해수욕장 →  거멀너머해수욕장 → 삽시분교장 → 기념비 → 삽시도 여객선 터미널 → 술뚱선착장

5. 트레킹 거리 및 소요시간 : 9.47km(5시간 39분)  

밤섬선착장(08:08) → 2.55km → 황금곰솔(06:50)  → 3.22km → 면삽지(10:50) → 1.24km → 진너머해수욕장(11:18) → 2.46km → 술뚱선착장(13:47) 

보령 삽시도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보령 삽시도 지도

보령 삽시도 트레킹 및 사진


1. 밤섬선착장


밤섬선착장

▲ 보령 대천항에서 07:20분경에 출항한 '가자섬으로'호가 밤섬선착장에 08:08분경에 도착합니다. 밤섬선착장에 내려 삽시도 트레킹을 시작합니다. 

2. 밤섬해수욕장 삼거리


밤섬해수욕장 삼거리

▲ 밤섬해수욕장 삼거리(← 수루미해수욕장, ↓ 밤섬선착장, 웃마을 선착장(술뚱선착장) 3.2km ↗)에서 왼쪽의 수루미해수욕장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수루미 해수욕장 가는 길

3. 수루미해수욕장


수루미해수욕장 입구

▲ 왼쪽이 수루미해수욕장입니다. 해변 방향으로 걷습니다. 오른쪽을 걸어서 이동해도 됩니다.  

수루미해수욕장에서 바라본 불모도

▲ 수루미해수욕장에서 바라본 불모도, 소화시도, 외점도, 녹도, 호도, 명덕도

일반둘레길

▲ 수루미해변 중간에 일반둘레길로 나와 걷다가 

수루미해수욕장으로

▲ 다시 수루미해수욕장으로 걷습니다. 

둘레길로 나감

▲ 수루미해수욕장에서 둘레길로 나갑니다.  

삽시도 둘레길

4. 사거리 이정표

사거리 이정표

▲ 사거리 이정표(← 곰솔 0.8km, ↓ 밤섬선착장, 물망터 0.5km ↑, 진너머해수욕장 1.8km →)에서 왼쪽의 곰솔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오른쪽으로

5. 황금곰솔(인증)


황금곰솔 안내판

▲ 블랙야크 섬&산100 인증지인 삽시도의 '황금곰솔, 안내판'입니다.  

황금곰솔

▲ 해변으로 내려와서 바라본 삽시도의 첫 번째 보물인 홤금곰솔 

황금곰솔은 수령이 약 40년(2009년 현재)으로 높이는 8.0m, 가슴높이 둘레는 77cm, 수관폭은 동-서 8.50m, 남-북 7.50m이다. 곰솔은 소나무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기 때문에 곰솔이라고 부르며, 소나무의 겨울눈은 붉은색인데 반해 곰솔은 회백색인 것이 특징이다. 바닷가를 따라 자라기 때문에 해송(海松)으로도 부르며, 또 줄기 껍질의 색이 소나무보다 검다고 해서 흑송(黑松)이라고도 한다. 바닷바람과 염분에 강하여 바닷가의 바람이 막아주는 방풍림(防風林)이나 방조림(防潮林)으로 많이 심는다. 이 곰솔은 나뭇잎색이 황금색이서 '황금소나무'로 불리는데, 이는 엽록소가 없거나 적어서 생기는 특이한 현상으로 소나무의 변이종이며, 세계적으로 희귀하여 소나무 학술 연구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삽시도 둘레길

6. 물망터

물망터 입구

▲ 물망터 입구(← 물망터 0.5km, ↓ 곰솔 2.6km, 면삽지 1.3km ↑)에서 물망터를 다녀옵니다. 

물망터 위치

▲ 삽시도의 두 번째 보물인 물망터의 위치입니다. 

물망터

▲ 물망터

물망터

▲ 물망터

석간수 물망터

▲ 삽시도의 두 번째 보물인 석간수 물망터 

물망터는 밀물 때는 바닷물속에 잠겨 있다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속에 잠겨 있던 바위와 백사장이 드러나면 짜디짠 갯물을 걷어내 고 시원하고 상큼한 생수가 바위틈에서 콸콸 솟아오르는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삽시도만의 명물입니다. 

물망터 입구

 ▲ 물망터 입구로 돌아와서 면삽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전망대

▲ 왼쪽 아래에 전망대가 있습니다. 전망대를 잠시 보고 오른쪽으로 올라갑니다. 

전망대

▲ 전망대

섬 조망

7. 면삽지


면삽지 입구

▲ 면삽지 입구(← 면삽지 0.3km, ↓ 곰솔 2.6km, 진너머해수욕장 1.4km ↑)입니다. 면삽지를 다녀옵니다. 

면삽지

▲ 정면으로 보이는 섬이 삽시도 세 번째 보물인 면삽지입니다.  

면삽지는 '면할 면'자를 써서 삽시도를 면한 땅이라는 의미이다. 밀물 때 길이 끊겨 걸어서는 갈 수 없는 섬이지만 썰물 때면 다시 이어지는 이곳은 해식동굴에서 솟는 샘터의 물맛 또는 빠지지 않는다. 

해식 동굴

▲ 면삽지 맞은편에 해식동굴이 있습니다. 

면삽지 해변

▲ 면삽지 해변

해식동굴 안에서 바라본 면삽지

▲ 해식동굴에서 바라본 면삽지

면삽지 해변에서 바라본 장고도와 고대도

▲ 면삽지 해변에서 바라본 장고도와 고대도

전망대에서 뒤돌아본 면삽지

▲ 전망대에서 뒤돌아본 면삽지

거덜너머해수욕장과 진너머해수욕장

▲ 멀리 보이는 거덜너머해수욕장과 진너머해수욕장

삽시도 둘레길 종합안내도

▲ 삽시도 둘레길 종합안내도가 있는 삼거리(↓ 면삽지 600m)

삽시도 둘레길 안내도

▲ 삽시도 둘레길 안내도(↖ 진너머해수욕장 0.3km, ↓ 면삽지 1.1km)

삽시도 환상의 노을펜션

▲ 삽시도 환상의 노을펜션 

8. 진너머해수욕장

진너머해수욕장 입구

▲ 진너머해수욕장으로 내려갔다 잠시 구경만 하고 돌아옵니다. 

진너머해수욕장

▲ 진너머해수욕장 

별밤펜션 삼거리

▲ 별밤펜션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골목길 오른쪽으로 이동

골목길 왼쪽으로 이동

 9. 거덜너머해수욕장

해당화펜션

▲ 해당화펜션에서 거덜너머해수욕장으로 내려갑니다. 

거덜너머해수욕장

▲ 거덜너머해수욕장

거덜너머해수욕장

▲ 거널더머해수욕장에서 나가는 길

왼쪽 길로

10. 오천초등학교 삽시분교장


오천초등학교 삽시분교장

오천초등학교 삽시분교장

▲ 오천초등학교 삽시분교장

11. 기념비

박주사영삼공기념비

▲ 박주사영삼공기념비에서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왼쪽으로

술뚱선착장으로 가는 길

12. 삽시도 여객선 터미널

윗마을 매표소 삽시도 여객선 터미널

▲ 윗마을 매표소, 삽시도 여객선터미널

공중화장실

▲ 공중화장실 

삽시도 어촌체험마을 종합안내센터

▲ 삽시도 어촌체험마을 종합안내센터

13. 술뚱선착장

술뚱선착장

▲ 술뚱선착장(웃마을선착장)에서 블랙야크 섬&산 100에 선정된 삽시도 트레킹을 마치고, 13:55에 출항하는 '가자섬으로'호를 타고고대도로 떠납니다. 술뚱선착장 앞으로 보이는 섬은 고대도(左)와 원산도(右)입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