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 : 남여치 ~ 재백이고개 ~ 관음봉 ~ 직소폭포 ~ 내소사 ~ 내소주차장

변산(내변산) 정보


변산 직소보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에 위치한 산이다(고도:510m). 최고봉은 의상봉이며 예로부터 능가산, 영주산, 봉래산이라 불렸고 호남의 5대 명산 중 하나로 꼽혀왔다. 서해와 인접해 있고 호남평야를 사이에 두고 호남정맥 줄기에서 떨어져 독립된 산군을 형성하고 있다. 내변산에는 높이 20m의 직소폭포(直沼瀑布), 높이 30m와 40m의 2개 바위로 된 울금바위, 울금바위를 중심으로 뻗은 우금산성(禹金山城) 외에 가마소, 봉래구곡, 분옥담, 선녀당, 마소, 용소(龍沼), 옥수담(玉水潭) 등 명소가 있다. 또 내소사(來蘇寺), 개암사(開岩寺)등 사찰이 있고 호랑가시나무, 꽝꽝나무, 후박나무 등 희귀식물의 군락이 서식하고 있다. 서해를 붉게 물들이는 ‘월명낙조’로 이름난 낙조대(落照臺)의 월명암(月明庵)도 유명하다. 외변산에는 해식단애(海蝕斷崖)의 절경을이루는 채석강(採石江:도 기념물 28), 적벽강(赤壁江:도기념물29)이 있고 그 밑 해안에는 경사가 완만한 변산해수욕장을 비롯해 고사포해수욕장, 격포해수욕장 등 여름철 휴양지가 많다. 1988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지명은 삼한의 변한(弁韓)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부안)에는“보안현에 있다. 지금 현과의 거리는 서쪽으로 25리인데, 능가산으로도 불리고, 영주산으로도 불린다. 혹 변산(卞山)이라고도 하는데, 말이 돌아다니다가 변(邊)으로 되었다 한다. 변한(卞韓)이라는 이름을 얻은 것이 이 때문이라 하나 봉우리들이 백여 리를 빙 둘러 있고 높고 큰 산이 첩첩이 싸여 있으며, 바위와 골짜기가 깊숙하여, 궁실과 배의 재목은 고려 때부터 모두 여기서 얻어 갔다. 전하는 말에는 호랑이와 표범들이 사람을 보면 곧 피하였으므로 밤길이 막히지 않았다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변산(내변산)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9월 16일 화요일, 10:29 - 15:34

2. 산행 장소 : 변산 + 내소사 + 개암사

3.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상서면, 진서면(변산)

4. 산행 코스 : 월명사 표지석 → 남여치 → 내변산쉼터 → 쌍선봉삼거리 → 월명암 → 자연보호헌장탑 → 직소보전망대 → 선녀탕 → 직소폭포전망대 → 분옥담 → 재백이고개 → 마당바위 안전쉼터 → 관음봉삼거리 → 관음봉 → 관음봉삼거리 → 내소쉼터 → 재백이고개 탐방로 입구 → 내소사 대웅보전→ 내소사 일주문 → 내소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1.06km(5시간 5분)

월명사 표지석(10:29) → 7.96km → 관음봉(14:09)  → 2.06km → 내소사(15:08) → 1.04km → 내소주차장(15:34)
 

변산(내변산) 산행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변산-산행지도


변산(내변산) 산행기 및 사진

1. 월명암 표지석 

월명암 표지석

▲ 월명암 표지석 삼거리(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 95-87)에서 블랙야크 명산100에 선정된 내변산 관음봉 산행을 시작합니다. 

2. 남여치 

남여치

▲ 남여치(← 월명암 1.9km·직소폭포5.1km) 등산로입구입니다. 남여치에는 남녀화장실, 소형주차장, 탐방로 안내판, 운동시설 등이 있습니다.

이정표

▲ 이정표(↓남여치 0.4km, 월명암 1.5km↑)

3. 내변산쉼터

내변산 쉼터

▲ 내변산 쉼터(변산-03)입니다. 내변산 쉼터에는 탐방객 안전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용 약품이 배치되어 있는 '비상 구급함'이 있습니다.

출입금지 안내판

▲ 출입금지 팻말(← 출입금지, 진행방향↑)입니다.

이정표

▲ 월명암 법구경 안내판(↓남여치 1.4km, 자연보호헌장탑 2.7km·월명암 0.5km↑)입니다.

4. 쌍선봉삼거리

샛길-출입금지안내판

▲ 쌍선봉삼거리(← 샛길 출입금지,↓남여치 1.6km, 월명암 0.3km →)에서 월명암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샛길출입금지

▲ 뒤돌아본 쌍선봉삼거리입니다. 쌍선봉 입구인데, 쌍선봉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5. 월명암

월명암

▲ 오른쪽 계단을 따라 월명암으로 올라갑니다. 월명암을 경유하지 않으실 분은 바로 직진하셔도 됩니다.

월명암 대웅전

▲ 월명암 대웅전

월명암에서-바라본-의상봉

▲ 월명암에서 바라본 의상봉(제일 왼쪽 봉우리)

월명암 화장실

▲ 월명암 화장실

무명봉

▲ 무명봉

관음봉-조망

▲ 직소보와 관음봉 조망

왼쪽으로 내려감

▲ 이정표(← 자연보호헌장탑0.8km·직소폭포1.7km,↓월명암 1.2km)

6. 자연보호헌장탑

자연보호헌장탑

▲ 자연보호헌장탑(← 내변산주차장 1.4km,↓월명암 2.3km, 내소사 4.5km·직소폭포 0.9km)에서 직소폭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자연보호헌장탑은 삼거리 왼쪽에 있습니다. 

자연보호헌장탑

▲ 자연보호헌장탑

작은다리

▲ 작은 다리

7. 직소보전망대

직소보

▲ 사진찍기 좋은 녹색명소로 잘 알려진 직소보전망대입니다.

정면의 관음봉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곳 직소보는 대소골을 발원으로 직소폭포와 선녀탕을 거쳐 모인 곳으로 물에 비친 관음봉과 주변경관이 수려하여 사진찍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뒤돌아본-직소보전망대

▲ 뒤돌아본 직소보전망대

8. 선녀탕 

선녀탕-갈림길

▲ 선녀탕 갈림길(← 선녀탕 0.1km,↓내변산주차장 1.9km, 직소폭포 0.4km↑)에서 선녀탕을 다녀옵니다.

선녀탕

▲ 선녀탕

9. 직소폭포전망대

직소폭포전망대

▲ 직소폭포전망대(↓내변산주차장 2.3km, 내소사 3.6km↑) 입니다.

직소폭포

▲ 직소폭포전망대에서 바라본 직소폭포

10. 분옥담 


분옥담으로-내려가는길

▲ 직소폭포전망대에서 분옥담으로 내려가는 계단입니다.

분옥담

▲ 분옥담

재백이다리

▲ 재백이다리

11. 재백이고개 


재백이고개

▲ 재백이고개(← 관음봉삼거리 0.9km,↓직소폭포 1.5km, 원암 1.2km↑)

12. 마당바위 안전쉼터 

마당바위-안전쉼터

▲ 뒤돌아본 마당바위안전쉼터

이정표

▲ 변산 02-02 이정표(↓직소폭포 2.1km·재백이고개 0.6km, 내소사 1.5km·관음봉 0.8km →)

관음봉삼거리-가는길

▲ 관음봉삼거리로 가는 등산로

13. 관음봉삼거리 

관음봉삼거리

▲ 관음봉삼거리(← 관음봉 0.6km·세봉 1.3km, ↓직소폭포 2.3km, 내소사 1.3km ↑)에서 관음봉을 다녀옵니다. 

암릉계단길

▲ 변산 05-01(암릉 계단)

조망

관음봉-헬리포트

▲ 관음봉 헬리포트(↓관음봉삼거리 0.4km·직소폭포 2.7km, 관음봉 0.2km·세봉 0.9km →)

14. 관음봉 

관음봉

▲ 관음봉(↓내소사 1.9km·원암 2.6km·직소폭포 2.6km, 세봉 0.7km ↑, 관음봉 정상석 →)

관음봉-정상석

▲ 블랙야크 명산100 인증지인 관음봉 정상석(424m)입니다. 블랙야크 인증을 하고 관음봉삼거리로 되돌아갑니다. 

관음봉에서-바라본-신선봉

▲ 변산 관음봉에서 바라본 신선봉, 망포대

변산-관음봉에서-바라본-낙조대-쌍선봉

▲ 변산 관음봉에서 바라본 망포대, 낙조대, 쌍선봉

15. 관음봉삼거리 

관음봉삼거리

▲ 관음봉삼거리에서 왼쪽 내소사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수려한-조망

▲ 수려한 조망

16. 내소쉼터 

내소쉼터

▲ 내소쉼터(변산-02)

17. 재백이고개 탐방로 입구 

재백이탐방로

▲ 재백이고개 탐방로 입구에서 내소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왼쪽-내소사방향으로

▲ 왼쪽 내소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18. 내소사 대웅보전 

내소사-대웅보전

▲ 블랙야크 역사문화대장정 인증지인 내소사 대웅보전입니다. 

이정표

▲ 이정표(진행방향 ↑, 관음봉삼거리 1.3km →)

19. 내소사 일주문  

내소사-일주문

 내소사 일주문

내소사-주변상가

 내소사 주변상가

내변산-탐방지원센터

 내소탐방지원센터

20. 내소주차장  

내소주차장

▲ 내소주차장

내소사주차장에서-바라본-조망

▲ 내소주차장에서 바라본 관음봉 조망입니다. 내소주차장(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166)에서 블랙야크 명산100에 선정된 변산 관음봉 산행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