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 내금강, 고창 선운산

고창 선운산 정보

고창-선운산

선운산(禪雲山) 전북 고창군의 아산면과 심원면 경계에 걸쳐 있는 선운산도립공원의 중심으로 수리봉을 주봉으로 하는 산이다(고도:336m). 주진천(인천강) 서쪽에 위치하여 천왕봉을 중심으로 개이빨산, 청룡산, 비학산, 경수산, 구황봉 등이 북서쪽으로 흐르는 선운천 골짜기만을 살짝 열어둔 채 말발굽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어 마치 천혜의 요새를 떠오르게 한다. 원래 도솔산(兜率山)이라고 하였으나 백제 때 창건한 선운사(禪雲寺)가 유명해지면서 선운산으로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그렇지만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궁을 의미하는‘도솔’이나 구름 속에서 참선한다는 ‘선운’ 모두 불교와 관련된 명칭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무장)에는“선운산은 선(禪)을 선(仙)으로도 쓴다. 현에서 북쪽으로 20리 떨어져 있다.”라는 기록을 볼 수 있다. 동일문헌에 소개되어 있는 선운산곡(禪雲山曲)은 무등산가·지리산가·정읍사 등 다섯 편의 백제가요 중 하나이다. 『고려사』(악지)에 “선운산은 장사 사람이 병역에 나갔는데, 기한이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아서 그의 처가 남편을 생각하고 선운산에 올라가 바라보면서 부른 노래이다.”라고 하였다. 조선 후기 대부분의 무장현 지도에 선운산이 묘사되어 있다. 특히 『해동지도』 에 무장현 북단에 선운산이 기재되어 있으며 도솔암, 선운사가 함께 그려져 있다. 

고창 선운산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11월 11일 화요일, 10:15 - 14:43

2. 산행 장소 : 선운산 + 도솔암 + 선운사

3.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심원면, 아산면

4. 산행 코스 : 선운산대형주차장 → 선운산생태숲 → 선운사 일주문 → 선운사 담벼락 → 석성암 → 마이재 → 선운산 → 선운 03-07 → 포갠바위 → 창당암 갈림길 → 참당암 입구, 참당암 → 소리재 → 천상봉 → 용문골 입구, 용문골 → 낙조대 → 천마봉 → 도솔암 → 장사송, 진흥굴 → 선운사 템플스테이 → 선운사 → 선운사 일주문 → 송악 → 관광안내소 → 선운산대형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2.89km(4시간 28분)

선운산대형주차장(10:15) → 3.28km → 선운산(11:16)→ 3.98km → 천마봉(12:42) → 5.63km → 선운산대형주차장(14:43)

고창 선운산 산행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고창-선운산-지도

고창 선운산 산행기 및 사진

1. 선운산대형주차장

선운산주차장

▲ 선운산대형주차장(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126)에서 블랙야크 명산100에 선정된 선운산 산행을 시작합니다.

다리를 건넙니다.

▲ 작은 다리를 건넙니다. 

선운산호텔

▲ 선운산호텔

2. 선운산생태숲

선운산생태숲-방향으로

▲ 왼쪽의 선운산생태숲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선운산-생태숲

▲ 선운산생태숲

선운산생태숲-표지석

▲ 선운산 생태숲 표지석

선운사-일주문-방향으로

3. 선운사 일주문

선운사-일주문

▲ 선운산 일주문

삼거리

▲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4. 선운사 담벼락

선운사에서 오른쪽으로 올라갑니다.

▲ 선운사 담벼락(선운사 0.15km·템플스테이 1.5km ↑, 석상암 0.7km·마이재 1.4km →)을 따라 오른쪽으로 올라갑니다.

5. 석상암

석성암

▲ 석상암 입구(마이재 0.7km↑, 석상암 ↗)에서 석상암을 다녀옵니다. 

석상암

▲ 석상암의 전각은 현판도 달려있지 않고, 주위의 모든 것이 조용하고 쓸쓸합니다. 

석상암-입구

▲ 석상암 입구로 돌아와서 마이재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6. 마이재

마이재-갈림길

▲ 정면 방향이 마이재인데요. 입산통제 중이네요. 바로 왼쪽으로 올라갑니다. 

7. 선운산

선운산-정상

▲ 앞의 봉우리가 선운산 수리봉(↓ 마이재 0.70km, 참당암 1.35km·견치산 2.53km ↑)정상입니다.

선운산-수리봉-정상석

▲ 블랙야크 명산100 인증지인 "선운산 수리봉(336m) 정상석"입니다.

선운산-정상의-전망바위

▲ 선운산 정상의 전망바위

수리봉-전망바위에서-바라본-견치산

▲ 선운산 정상의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삼각점봉(카카오맵과 네이버지도는 이 봉우리를 견치산으로 표기), 견치산(개이빨산, 346m, 선운산 안내판 표기)

8. 선운 03-07


▲ 선운 03-07(← 참당암 1.06km, 견치산 2.36km ↑) 지점에서 참당암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전망대

▲ 전망대

9. 포갠바위

포갠바위

▲ 포갠바위( ↓수리봉 0.52km, 참당암 0.72km ↑)

전망바위

▲ 전망바위

10. 참당암 갈림길

창당암-갈림길

▲ 참당암 갈림길(← 선운사 1.65km, ↓ 포갠바위 0.27km·경수봉 3.86km, 참당암 0.43km →)

삼거리

▲ 삼거리(↓ 경수봉 4.30km·마이재 2.0km·수리봉 1.3km·포갠바위 0.8km, 소리재 1.0km →)

11. 참당암 입구, 참당암

참당암-입구

▲ 참당암 입구(소리재 1.0km·낙조대 1.92km·천마봉 2.08km ↑, 참당암 ↗)인데요. 참당암을 잠시 다녀와 소리재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참당암

▲ 참당암 대웅전 

참당암-입구

▲ 참당암 입구에서 소리재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12. 소리재

소리재

▲ 소리재(← 용문굴 0.70km·낙조대 1.0km, ↓ 참당암 1.0km, 견치산 1.25km →)

삼거리

▲ 삼거리(↓ 소리재 0.14km, 용문굴 0.54km·도솔암 1.02km·낙조대 0.85km →)

13. 천상봉

천상봉

▲ 천상봉

천상봉-전망바위

▲ 천상봉 근처의 전망바위

천상봉-전망바위에서-바라본-안장바위

▲ 천상봉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안장바위, 사자바위, 천마봉, 국기봉, 쥐바위

천상봉-전망대에서바라본-낙조대

▲ 천상봉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사자바위, 천마봉, 국기봉, 쥐바위, 낙조대, 청룡산, 배맨바위

14. 용문굴 입구, 용문굴

용문굴-입구

▲ 용문굴 입구(← 도솔쉼터 2.92km·선운사·용문굴 0.1km,↓소리재 0.60km, 낙조대 0.47km ↑)에서 용문굴을 다녀옵니다.

용문굴

▲ 용문굴

용문굴

▲ 용문굴

낙조대

▲ 용문굴을 다녀와 낙조대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15. 낙조대

낙조대

▲ 낙조대

낙조대

▲ 낙조대(落照臺, Nakjodae Terrace)

낙조대는 인접한 천마봉과 함께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 중 하나로,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고창갯벌'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주변의 저수지와 능선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며, 특히 하늘과 바다가 붉은 빛으로 물들어가는 순간, 태양이 바닷물속으로 빠져드는 황홀라고 장엄한 낙조의 경관을 만끽할 수 있다.

뒤돌아본-낙조대

▲ 뒤돌아본 낙조대

삼거리-이정표

▲ 삼거리(← 도솔암 0.54km, ↓낙조대 0.1km, 천마봉 0.05km ↗)에서 천마봉을 다녀와 도솔암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16. 천마봉

천마봉

▲ 천마봉(284m)

선운산-천마봉에서바라본-선운산정상

▲ 천마봉에서 바라본 삼각점봉, 천상봉, 천왕봉, 경수봉(경수산), 선운산, 투구바위, 소요산, 구황봉, 도솔암 내원궁, 마애불, 도솔암, 선운사

선운산-천마봉-낙조대

▲ 천마봉에서 바라본 낙조대

삼거리

▲ 삼거리로 돌아와 도솔암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계단

▲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안내판(← 소리재 1.14km·용문굴 0.45km, ↓낙조대 0.47km, 진행방향 ↑, 도솔암 0.25km →) 

17. 도솔암

도솔암-마애불과-미륵전

▲ 도솔암 마애불과 미륵전

도솔암-도솔천-내원궁

▲ 도솔암 도솔천 내원궁

도솔암-극락보전

▲ 도솔암 극락보전

도솔암-입구

▲ 도솔암 입구(↖ 진행방향, ↓도솔암 0.1km·마애불상 0.26km, 낙조대 0. 61km·천마봉 0.59km·용문굴 0.58km →)

보행탐방로-갈림길

▲ 보행탐방로 갈림길(차량 통행로↑, 보행 탐방로 →)

18. 장사송, 진흥굴

▲ 장사송과 진흥굴

장사송

▲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長沙柗) : 천연기념물

장사송은 이 지역의 옛 지명인 장사현(長沙縣)에서 유래하여 붙은 이름이다. 옛날 신라 진흥왕이 수도했다고 전해지는 진흥굴 앞에 있다 하여 진흥송이라고도 불린다. 장사송의 나이는 약 600살, 높이는 약 23m에 이른다. 장사송은 가슴 높이 둘레 3m에 동서남북 17m로 가지가 퍼져 있으며, 지상 40cm쯤에서 가지가 난 흔적이 있어 키가 작고 가지가 옆으로 퍼진 소나무인 반송(盤松)으로 분류되고 있다. 나무줄기가 지상 2.2m 높이에서 크게 두 갈래로 갈라졌고, 그 위에서 다시 여덟 갈래로 크게 갈라져 자라고 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우리나라 팔도의 모습을 나타내는 듯 수려하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답고 생육 상태가 양호하며, 보기 드물게 오래된 소나무로 보존 가치가 인정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장사송의 옆에 있는 돌 비석의  뒷면에는 장사녀(長沙女) 이야기가 새겨져 있다. 장사녀는 고려사 등에 전해지는 백제 가요 선운산곡에 나오는 인물이다. 선운산곡에서 장사녀는 선운산에 올라가 정역<조세와 부역>에 나간 남편을 기다리며 노래를 부른다고 전해진다. 

진흥굴

▲ 선운산 진흥굴

진흥굴은 화산재로 만들어진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되어 있습니다. 내부는 화산재가 식으며생긴 갈라진 틈(절리)과 이 틈이 풍화작용으로 점차 부서져 발생한 낙석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동굴의 갈라진 틈들이 부서지면 층상으로 벗겨지는 현상을 박리작용이라 합니다.

단풍

▲ 단풍

갈림길

▲ 삼거리

포갠바위-갈림길

▲ 포갠바위 갈림길( ← 포갠바위 530m, 진행방향 ↑)

19. 선운사 템플스테이

선운사-템플스테이

▲ 선운사 템플스테이

선운사-템플스테이

▲ 선운사 템플스테이

삼거리

검단정

▲ 검단정(黔丹亭)

19. 선운사

선운사

▲ 선운사 극락교

선운사-대웅보전

▲ 블랙야크 역사문화대장정 인증지인 "선운사 대웅보전"입니다. 

선운사-담벼락

▲ 선운사 담벼락

18. 선운사 일주문

선운사-일주문

▲ 선운사 일주문

19. 송악

송악

송악

▲ 송악

20. 관광안내소

관광안내소

▲ 관광안내소(← 선운사(보행자 도로) 1.03km, 선운사 1.07km(차량 도로) 1.07km·유스호스텔 397m ↑)

선운산호텔

▲ 선운산호텔

21. 선운산대형주차장

선운산대형주차장

▲ 선운산대형주차장으로 돌아와 블랙야크 명산100에 선정된 선운산 산행을 마칩니다.

댓글 없음: